13일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우리나라 연간 수출액이 13일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은 13일 오전 11시 36분 기준으로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최대실적인 2018년의 6049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무역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66년 만에 최대 성과다.
올해 총 연간 수출은 64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11월까지 누계 기준 수출액은 5838억 달러로 과거 최대 수출을 기록한 2018년 1∼11월의 5567억 달러보다 271억 달러 많다.
산업부는 올해 역대 최대의 수출실적을 달성한 원동력으로 ▲주력 수출산업의 주도적 역할 ▲신(新) 수출 품목의 약진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화 등을 꼽았다.
먼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이 국내 생산 차질 최소화와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메모리 반도체는 지난 9월까지 누적 기준 글로벌 시장 점유율 58.9%를 유지했고, 자동차도 9월까지 327억 달러를 수출하면서 세계 5위 수출국 자리를 지켰다. 조선도 올해 9월 누적 기준 세계시장 점유율 20.6%로 2위를 차지하며, 지난해(17.8%)보다 점유율을 더 끌어올렸다.
전통 주력산업 외에 바이오·농수산·화장품 등 신수출 유망 품목들도 약진했다.
시스템 반도체·친환경차·바이오헬스·2차전지·OLED·농수산식품·화장품 등은 모두 2018년을 넘어 최대 수출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바이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4개 품목의 수출이 2018년 대비 123억 달러 늘어 전체 수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해 수출 최대실적 달성에 큰 역할을 했다.
고부가가치 수출품이 늘어난 것도 과거와 비교해 주목할 점이다.
조선에서는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선 수출 비중이 2018년 23척에서 올해 43척으로 86.9% 늘었다. 이 영향에 선박 수출단가도 2018년과 비교해 10.2%포인트 증가했다. 자동차와 디스플레이에서도 고부가 제품인 전기차와 OLED 비중이 확대하면서 전체 수출 단가가 2018년과 비교해 올해 17.2%, 38.3% 각각 늘었다. 석유화학도 유가가 2018년 대비 올해 -2.3% 감소했지만, 고부가 제품인 합성수지(ABS 등) 수출 증가에 수출 단가는 5.2% 상승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수출액 사상 최대실적 경신은 수출입 물류난, 변이 바이러스 지속, 공급망 차질 등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민·관이 함께 이뤄낸 값진 성과”라며 “내년 수출도 증가세를 이어가도록 수출입 현장의 어려움 해소, 중소기업 수출역량 강화, 미래 무역기반 확충 등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