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고금리와 내수 부진의 이중고에 밀려 청년들이 창업을 포기하거나 문을 닫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 부족 속에서 창업마저 버거워진 상황에 청년층의 경제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는 35만4,672명(월평균)으로, 1년 전보다 2만6,247명 줄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7년 9월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청년 사업자 수는 코로나19 시기에도 매 분기 증가세를 이어왔지만, 작년 3분기 처음으로 1만9,400명 줄어든 데 이어 4분기(-2만1,527명)와 올해 1분기까지 연속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는 창업보다 휴업·폐업이 더 많아졌다는 의미다. 실제로 전체 폐업자 수는 2023년 100만명을 처음 넘어섰으며, 자본과 경험이 부족한 청년층이 그 주요 대상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종별로는 소매업과 음식업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소매업에 종사하는 청년 사업자는 12만7,089명으로 1년 전보다 1만6,185명 줄어 전체 감소분의 62%를 차지했다. 음식업 청년 사업자도 4만6,269명으로 5,507명 줄었는데, 이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특히 음식업의 경우 작년 3분기부터 분기마다 약 5,000명씩 줄고 있다.
건설업도 예외는 아니다. 건설경기 위축 영향으로 청년 사업자는 1만4,472명으로, 1분기에만 247명 줄며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작년 3분기 이후 3분기 연속 감소세다.
전문가들은 청년 창업이 음식점·카페 등 기술 기반이 약한 자영업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한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런 업종은 이미 포화 상태이거나 수요가 많지 않아 살아남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청년 창업 위축은 고용시장 위축과도 맞물린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지난해 5월 이후 13개월 연속 하락 중이며, 실업률도 올해 들어 7%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일자리 부족으로 취업 대신 창업을 택하는 청년이 많지만, 부채 의존도가 높고 경기 충격에 취약해 폐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