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이주열 한은 총재 “기준금리, 국내 여건 따라 운용...美 속도에 끌려갈 이유 없다”

메뉴

경제

이주열 한은 총재 “기준금리, 국내 여건 따라 운용...美 속도에 끌려갈 이유 없다”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12-16 16:11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이 총재 “기대인플레 높아지면 물가상승 빨라지고 장기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유연수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앞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이 국내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외 요인보다 국내 요인에 맞춰 (통화정책을)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6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저희가 움직일 수 있을 때 미리 움직였기 때문에 연준의 (정상화) 속도에 따라 피동적으로 끌려갈 리스크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한은이 선제적으로 움직인 게 정책운용에 있어 여러 가지 유연성을 확보하는 데 상당히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25일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종전의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는 “금통위 후 3주 정도 지나 유의해서 봐야 할 변화라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있는데, 그 영향이 어떻다고 말하기는 아직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도 영향을 좀 주겠지만 국내 경기 상황을 종합적으로 볼 때 금리 정상화를 계속 끌고 가겠다는 종래의 기조는 변화가 없다”고 덧붙였다.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에 대해선 “최근 국내외 물가 흐름에서 두드러진 점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유발 요인이 늘고 그 영향도 점차 확산하면서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장기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제유가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은 대다수 국가에서 소비자물가의 오름세 확대를 주도하고 있다”며 “당초 에너지 가격 상승은 수급불균형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시각이 우세했지만, 최근에는 주요국간 갈등, 기상이변 등 예상하지 못한 충격이 더해져 높은 에너지 가격이 장기화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가격상승률이 2%를 넘는 품목의 범위가 에너지·농축산물 등 일부 품목에서 최근 내구재·개인서비스·주거비 등으로 확대되는 점, 물가상승률이 매우 높거나 낮은 품목을 제외한 '조정평균 소비자물가'나 정부 정책 영향을 제거한 '관리제외 근원물가'의 상승률이 최근 2%를 웃도는 점 등도 우려스러운 현상으로 거론했다.

그는 “2%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물가상승률이 이어지면서 일반인의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상승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불안해지면 다른 나라의 사례에서 보듯이 임금과 물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가상승이 가속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01,000 ▼49,000
비트코인캐시 691,000 ▲2,500
이더리움 4,123,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5,390 ▲60
리플 4,032 ▲24
퀀텀 3,099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45,000 ▼55,000
이더리움 4,121,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5,400 ▲90
메탈 1,071 ▲7
리스크 597 ▲3
리플 4,031 ▲22
에이다 1,008 ▲2
스팀 19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50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2,500
이더리움 4,122,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5,430 ▲120
리플 4,033 ▲24
퀀텀 3,049 0
이오타 30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