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최대 실적이 예상되는 4대 금융지주들이 최대 3조8000억원의 배당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제공=각 사]
[더파워=유연수 기자]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올해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배당액도 역대 최대 규모인 3조8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다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 배당과 관련해 마지막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일 은행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는 올해 배당성향을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의 26% 안팎 수준으로 되돌리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2019년도 기준 각 금융지주사의 배당성향은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가 각각 26%, 우리금융지주가 27%였다.
배당성향이란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을 말한다.
은행권은 중장기 배당성향 목표를 30% 안팎으로 정하고 점진적으로 배당성향을 높이는 주주환원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비해 배당성향을 20% 이내로 제한하라고 금융당국이 권고하면서 대부분 금융지주사가 배당을 일시적으로 줄였다.
그러나 최근 은행권이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지주사에 대한 배당 기대감이 다시 높아졌다. 실제 올해 4대 금융지주의 당기순이익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은 총 14조6000억원(연결 기준)으로 지난해 대비 35% 증가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각사가 2019년도 배당성향 수준으로 되돌릴 경우 올해 이익 증가율이 더해져 연간 배당금 총액은 역대 최대 수준인 3조8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2019년도의 4대 지주 배당금 총액(2조8671억원)과 비교해 1조원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호실적에 기대 지주사들은 이미 반기 중간배당 또는 분기배당을 늘린 상태다.
다만 새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산 가능성 등 여전히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만큼 금융당국이 지난해처럼 자본관리 권고를 할 가능성도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