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향후 보험사 등도 서비스에 참여 허용...보험·대출·ISA 정보 등 제공”
오픈뱅킹 등록현황 및 오픈뱅킹 이용건수. [자료제공=금융위원회][더파워=유연수 기자] 금융위원회는 이달 기준 오픈뱅킹 가입자 수(중복 제외)는 3000만명, 순 등록 계좌 수는 1억개로 각각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중복을 포함하면 가입자 수는 1억1000명, 등록 계좌 수는 2억1000개에 이른다.
오픈뱅킹은 이용자가 보유한 모든 은행의 계좌를 하나의 앱만으로 조회하고 자금 출금·이체할 수 있는 서비스다. 2019년 12월 18일 시작돼 시행 2년째를 맞았다.
누적 거래량은 83억8000만건을 넘어섰으며, 매일 2000만건(1조원)에 달하는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잔액 조회를 위해 이용하는 비중이 68%로 가장 높았고, 출금이체(21%), 거래내역 조회(6%) 등 계좌 관련 기능이 그 뒤를 이었다.
당초 은행·핀테크 기업만 제한적으로 참여하던 기관이 지난해 말부터 점차 늘어나면서 서비스 이용의 확장성이 커졌다. 상호금융사뿐만 아니라 금융투자회사, 카드사 등도 오픈뱅킹 서비스에 참여하며 현재는 120개 기관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오픈뱅킹의 장점으로 주거래은행 앱 하나로 수수료 없이 타 은행 송금을 진행할 수 있고, 채팅 앱에 연동된 정산 서비스를 통해 지인들과 식사비를 간편하게 나눠 낼 수 있다는 점 등이 있다.
금융위는 오픈뱅킹 시행을 통해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은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이체·송금 분야에서 비용을 크게 절감했으며, 이용자들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금융사는 타행 계좌의 자금으로 당행 금융상품에 가입하면 특별 금리를 제공하는 등 행사를 통해 신규 고객을 유치하고, 핀테크 기업은 전 금융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자산관리 등 확장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 점도 오픈뱅킹 서비스 성과로 꼽았다.
금융위는 “앞으로 보험사 등도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하고 보험이나 대출·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정보 등을 제공하도록 오픈뱅킹 시스템을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내년 1월부터 전면 시행되는 본인신용정보관리업(마이데이터) 서비스와 종합지급결제사업 등과의 연계 기반을 마련해 금융서비스 플랫폼화를 지원할 계획”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금융서비스를 받는 ‘마이플랫폼’ 도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