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2년 기획재정부 시무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가계부채·유동성 등 리스크 요인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2022년 새해를 맞아 이날 금융권에 배포한 신년사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관리 목표(4~5%대)와 질적 건전성 제고를 위한 분할상환 확대 등 노력이 현장에서 확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챙겨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도 “저소득층의 실수요 자금은 차질없이 공급되도록 충분한 한도를 부여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금융의 포용적 역할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정부는 올해 저소득층을 위한 정책서민금융 자금을 10조원 이상 공급하고 소상공인에 대해선 35조8000억원 규모의 초저금리 자금도 지원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금융의 포용적 역할이 아직 중요하고 지속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면서비스업, 취약계층 등은 코로나 충격이 집중됐을 뿐 아니라 회복 속도에도 격차가 확대되면서 이중(二重) 타격을 받고 있다”며 “코로나19의 상흔을 치유하고 완전한 경제 정상화를 이룰 때까지 서민·취약계층의 유동성 애로를 해소해주고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한시적 금융 지원 조치에 대해선 ‘질서 있는 정상화’를 당부했다.
홍 부총리는 “정상화 과정에서 경제·금융시장 흐름 및 방역·민생여건에 보폭을 맞춰가는 등 충격 흡수 또는 연착륙을 세심하게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금융이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금융업 스스로도 진화하는 미래 신산업으로 발전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금융권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상황을 고려해 신년회 행사는 개최하지 않고, 경제부총리 등 주요 기관장의 신년사만 공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