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신한금융 경영실적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 5598억원을 포함한 연간 당기순이익은 4조193억원으로 8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제공=신한금융그룹]
[더파워=유연수 기자] 신한금융그룹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사상 처음으로 4조원을 넘어섰다.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이익 증가와 카드, 증권, 캐피탈 등 비은행 부분의 성장에 따른 것이다. 이로써 신한금융은 8년 연속 당기순이익 성장세를 이어갔다. 앞서 실적을 공개한 KB금융에 리딩금융 자리를 뺏겼지만 두 그룹 모두 처음 ‘4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9일 신한금융 경영실적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당기순이익 5598억원을 포함한 연간 당기순이익은 4조193억원으로 8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7.7% 늘어난 것이다.
은행 부문의 안정적인 실적 기여와 함께 자본시장 중심 비은행 부문의 성장 덕분이다. 그룹의 4분기 순익은 희망퇴직 비용(2689억원), 투자상품 관련 손실 비용(4676억원) 인식 등 요인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했지만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경상이익은 이전 수준을 유지했다.
그룹 관계자는 “자산 성장과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은행의 이자 이익 증가와 함께 카드, 증권, 캐피탈 등 비은행 부문의 실적 성장이 그룹의 8년 연속 당기순이익 증가를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연간 이자이익은 9조53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0% 증가했다. 그룹과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각 1.81%, 1.41%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 0.01%포인트, 0.04%포인트 높아졌다.
연간 비이자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3조6381억원을 시현했다.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모두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수수료이익은 증권수탁수수료와 카드수수료 확대 등 수수료 사업 전반에 걸친 성장으로 12.3% 뛰었다. 유가증권 관련 이익도 금융투자 자기매매 손익, 라이프 자산운용손익 증가 영향으로 25.0% 늘었다.
이를 토대로 기말 배당금은 1960원으로 결정했다. 이미 지급된 분기배당금 560원을 포함한 금액으로 연간 보통주 배당성향은 25.2%다. 다음달 개최 예정인 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향후에도 분기배당 정례화 등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적이고 일관된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주요 그룹사별 당기순이익을 보면 신한은행은 2조49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늘었다. 지난해 말 원화대출금은 271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9.0% 성장했다. 가계 부문은 7.4%, 기업 부문은 10.6% 늘어났다.
신한카드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6750억원으로 전년 동기 11.3% 증가했는데, 정부 재정 확대와 민간 소비 증가, 온라인 결제 시장 성장 등 영향이다.
신한금융투자는 연간 당기순이익은 32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3% 늘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증권수탁수수료와 투자은행(IB) 관련 수수료가 늘어난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