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금융은 지난 17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전 계열사 디지털 부문 최고 책임자들이 참여하는 '2022 제1차 농협금융 DT추진최고협의회'를 개최했다. 이상래 디지털금융부문장이 화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농협금융]
[더파워=유연수 기자] 농협금융은 지난 17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전 계열사 디지털 부문 최고 책임자들이 참여하는 '2022 제1차 농협금융 DT추진최고협의회'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상래 농협금융 디지털금융부문장의 주재로 지난 한 해 동안의 디지털전환 성과에 대한 조명과 올해 나아가야 할 DT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우선 '올원뱅크, 나무' 등 주요 모바일 앱 가입자수 총 2790만명을 달성하며 전년대비 32.9%의 높은 성장세를 보여줬다. 또한 은행과 증권은 마이데이터 사업자 인가를 취득하여 높은 수준의 데이터기반 자산관리 서비스를 출시했다.
고객체감 측면의 우수 DT추진 사례로는 △신청서 미리작성 서비스(은행) △보험금 청구서류 업로드 시스템 개선(생명) △비대면 카드발급 프로세스 개선(카드) 등이 꼽혔다.
이어서 한 해 동안 계열사의 CEO가 책임지고 이행해야 할 최우선 DT과제 선정 및 추진 계획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농협금융은 각 계열사의 자체 DT내재화를 통한 업무효율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계열사 CEO가 책임 이행하는 핵심 과제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Two-Track 전략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적극 추진해갈 계획이다.
최우선 DT 과제로서 은행은 '고객 Pain-Point 해소를 위한 비대면 프로세스 개선', 증권은 '고객상담업무 디지털화 및 디지털 점포도입'을 선정했다.
은행의 '고객 Pain-Point 해소를 위한 비대면 프로세스 개선' 과제는 비대면 채널의 향후 10년을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 탐색, 가입부터 사후관리까지 고객관점에서의 불편사항을 세심하게 찾아내어 단계별 프로세스를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다.
증권의 '고객상담업무 디지털화 및 디지털 점포도입' 과제는 리테일부문 디지털 채널을 크게 MTS, 고객지원센터, WM센터로 구분하고 각각의 고객 접점에 24시간 챗봇서비스, STM(Smart Teller Machine) 등을 도입하여 고객의 편의성과 업무 효율화를 동시에 높이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회의를 진행하며 이상래 디지털금융부문장은 "전사적 DT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전 임직원의 디지털 마인드 재무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향후 디지털 금융을 이끌어 갈 외부 전문가 적극 영입은 물론 자체 DT마스터 인증제를 활용한 내부인재를 육성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AI, 블록체인’등 신기술을 활용한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도전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