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및 경기 지난 1월 대비 모두 상승폭 하락...수도권 중 인천만 유일하게 상승
27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이달 아파트 등 전국 주택의 평균 매매가격은 0.2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김시연 기자] 이달 전국 집값 상승세가 1년 9개월 만에 최저치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KB부동산 월간 주택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2월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단독주택 포함)의 평균 매매 가격은 0.2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0년 5월 0.14%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최저 수준이다.
전국적으로 아파트의 경우 가격 오름폭이 작년 11월 1.54%에서 12월 0.63%, 올해 1월 0.32%, 2월 0.16%로 3개월 연속 절반 가량씩 하락하는 추세다
지역별로 수도권의 집값 상승률은 평균 0.20%를 기록하면서 지난 1월 0.25%에 비해 0.05%p 하락했다.
서울 역시 지난달 0.21% 보다 소폭 낮은 0.20%로 집계됐다. 경기 지역도 0.25%에서 0.11%로 절반 가까이 하락했다. 다만 인천은 경기 다른 지역에 비해 집값 상승률이 0.37%에서 0.49%로 크게 올랐다.
지방 5대 광역시(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와 기타 지방은 이달 집값 상승률이 각각 0.15%, 0.31%로 나타나 지난달의 0.28%, 0.36%와 비교해 상승폭이 줄었다.
전국 전셋값 상승폭도 지난 1월 0.27%에 비해 0.05%p 낮아진 0.22%를 기록했다.
수도권 주택 전셋값 상승률은 이달 0.16%로, 지난달 0.24%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0.24%에서 0.14%로 상승률이 둔화됐고 경기 또한 0.23%에서 0.10%로 오름폭이 감소했다. 이에 반해 인천은 0.28%에서 0.43%로 상승폭이 크게 올랐다.
5개 광역시 가운데 울산(0.55%↑), 광주(0.47%↑), 부산(0.36%↑), 대전(0.10%↑)은 전달 대비 소폭 상승세를 보였지만 대구(0.09%↓)는 유일하게 하락 추세를 보였다.
한편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기준점 100 보다 아래인 83으로 조사됐다. 이달 기준 전망지수가 100을 넘는 지역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경남(101)이 유일했다.
KB부동산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4000개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 집값의 상승·하락 전망을 조사해 수치화한 지수다.
100을 초과할수록 상승 전망이 높고 100 미만이면 하락 전망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