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전경련이 국내 대기업을 상대로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중 절반 가량이 신규 채용 계획을 세우지 않거나 신규 채용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국내 대기업 중 절반 가량이 올해 상반기 신규 채용을 하지 않거나 신규 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7일부터 25일까지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은 140개사 중 42.1%는 신규채용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고 답했고 7.9%는 신규 채용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이들 대기업이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채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필요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의 어려움(19.2%)’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내외 경제 및 업종 경기 상황이 좋지 않음(17.3%)’이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이어 ‘회사 상황 어려움(13.5%)’, ‘고용 경직성으로 인해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인 인력 구조조정 어려움(13.5%)’, ‘내부 인력 수요 없음(11.5%)’, ‘하반기 공채만 진행(3.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규 채용에 나서겠다고 답한 기업들은 ‘회사가 속한 업종의 경기가 좋거나 좋아질 전망(44.8%)’, ‘신산업 또는 새로운 직군에 대한 인력 수요 증가(24.1%)’, ‘미래의 인재 확보 차원(20.8%)’ 등을 이유로 신규 채용하겠다고 답했다.
조사대상 대기업 중 절반이 넘는 62.1%는 수시 채용을 통해 신규 채용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수시 채용만 활용하겠다는 기업은 15.0%, 공개 채용·수시 채용을 병행하겠다는 기업은 47.1%로 가장 많았다. 공개채용만 진행하겠다는 기업은 37.9%로 집계됐다.
한편 대다수 대기업들은 신규 채용 확대를 위해선 차기 정부가 ‘노동·산업 분야의 기업규제 완화(43.6%)’에 집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