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 3만5천달러 첫 돌파... 3년만에 증가세로 전환

메뉴

경제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 3만5천달러 첫 돌파... 3년만에 증가세로 전환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06-08 11:02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5천달러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0년 국민계정(확정) 및 2021년 국민계정(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5373달러(작년 연평균 환율 기준 4048만원)다.

우리나라의 1인당 GNI가 3만5천달러대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3.0% 하락한 영향 등으로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달러 기준 10.5%, 원화 기준 7.2% 증가했다.

한국의 1인당 GNI는 2017년(3만1천734달러) 처음 3만달러에 진입했으며 2019∼2020년 감소세를 보였다가 지난해 다시 늘어나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올라간 4.1%로 11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지난해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9501달러로 1년 전보다 8.6% 늘었습니다. 원화로는 5.3% 증가한 2231만원이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지표다.

2020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0.7%였다. 잠정치(-0.9%)보다는 0.2%포인트(p) 올랐다.

작년 명목 GDP는 2천71조7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6.7% 성장했다. 9.7%를 기록한 2010년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2.5% 상승했다. 2015년(3.2%) 이후 6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총저축률은 36.3%로 전년보다 0.3%포인트(p) 상승했고, 국내총투자율은 0.1%포인트 오른 31.8%를 기록했다.

가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의 순저축률은 11.6%로 전년(12.4%)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2020년과 지난해 모두 68.4%로 집계됐다. 2년 연속 사상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피용자보수의 전년 대비 증가율(6.1%)이 기업 영업잉여(5.3%)보다 높았지만, 해외에서 벌어들인 배당금 등을 포함한 국외순수취요소소득까지 합치면 기업의 영업잉여가 더 증가해 노동소득분배율이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33,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687,000 ▼1,500
이더리움 4,096,000 0
이더리움클래식 25,380 ▼70
리플 4,005 ▼4
퀀텀 3,085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683,000 ▲212,000
이더리움 4,099,000 0
이더리움클래식 25,400 ▼60
메탈 1,065 ▼8
리스크 593 ▼1
리플 4,010 ▼1
에이다 1,005 ▲2
스팀 19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5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686,500 ▼2,500
이더리움 4,097,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5,380 ▼90
리플 4,004 ▼3
퀀텀 3,049 ▼72
이오타 3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