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더파워=최병수 기자] 정부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둔화 국면을 맞았다고 진단했다. 고물가에 수출 부진이 이어지면서 기업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는 평가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이어가는 가운데, 내수 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부진 및 기업 심리 위축이 지속되는 등 경기 흐름이 둔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기 둔화 진단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경기 회복 과정에서는 처음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경기 둔화 우려'를 처음 언급한 후 최근까지 비슷한 평가를 해왔다. 이어 지난달 우려 확대로 이번 달 경기 둔화로 경기 진단이 더 어두워졌다.
실제로 최근 한국 경제는 지난해 4분기에 역성장을 기록하고 수출도 부진한 모습이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4%(속보치) 감소해 2020년 2분기(-3.0%) 이후 10분기 만에 역성장했다.
또, 지난 1월 수출은 1년 전보다 16.6% 줄어 작년 10월부터 4개월째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1월 무역적자는 월간 기준 역대 최대인 126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기재부는 대외적으로는 세계 경제 연착륙 가능성과 중국 경제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있지만, 통화 긴축 기조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우려로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확고한 물가 안정과 민생부담 완화 기조하에 수출·투자 활력 제고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