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클립아트코리아[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해 가계지출의 27%가량은 세금이나 이자 지출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이 월급을 받아 95만원 이상을 대출 이자나 세금 등으로 지출했다는 것이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95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8.0% 증가했다.
전체 가계지출(359만1000원)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은 26.5%로 전년(26.1%)보다 0.4%P 상승했다. 이는 1인 가구 포함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래 연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비소비지출 비중은 2017년 22.9%에서 2018년(23.7%), 2019년(26.2%), 2020년(25.9%), 2021년(26.1%)으로 점차 올랐다. 비소비지출은 가계가 지출하는 비용 가운데 세금이나 이자 지출 등을 포함한 경직성 비용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자비용이 9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3% 급증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고 소득세와 재산세, 자동차세 등 경상조세는 21만2000원으로 10.6% 증가했다.
또 사회보험료가 8.0%, 연금기여금이 5.2% 각각 증가했는데, 자산 거래는 둔화되면서 부동산 취·등록세나 양도소득세가 포함된 비경상조세 지출은 31.9% 줄었다.
도시에 거주하며 가구주가 근로자인 도시 근로자 가구의 경우 가계지출 대비 비소비지출 비중이 29.1%에 달해 전체 가구보다 더 높았다.
이자비용이 증가한 것은 물론, 물가 상승과 함께 소득세 등 부담이 함께 늘어난 영향이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