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 1월 반도체 생산이 줄었지만 자동차 생산은 늘면서 전월 대비 산업 생산이 넉 달 만에 증가했다. 반면 소비는 석 달째 감소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09.7(2020년=100)로 전월보다 0.5% 늘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해 10월 -1.2%, 11월 -0.4%로 두 달 연속 감소했고 12월에는 비슷한 수준을 나타낸 뒤 4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전 산업생산 증가 폭(0.5%)은 작년 6월(0.5%) 이후 7개월 만에 최대다.
제조업(3.2%) 위주로 광공업 생산이 2.9% 늘어 전산업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제조업 생산은 작년 6월(1.3%) 이후 연속 감소하다 7개월 만에 반등했다. 1월 증가 폭은 2021년 12월(4.4%)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컸다. 자동차(9.6%), 1차 금속(6.7%) 생산이 전월보다 늘었고 통신·방송장비는 111.0% 증가했다.
그러나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반도체(-5.7%)를 비롯해 기계장비(-6.1%), 전자부품(-2.8%) 생산은 전월보다 줄었다. 특히 반도체는 전년 동월 대비로는 33.9% 감소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103.9(2020년=100)로 2.1% 감소했다. 내구재와 준내구재, 비내구재가 모두 감소한 영향이다.
소비는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으로 줄어들고 있다. 설비투자는 1.4%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4로 전월보다 0.4포인트(p) 내려 4개월 연속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5로 전월보다 0.3p 내려 7개월 연속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