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해 글로벌 금융시장 약세 속에 국민연금이 역대 가장 낮은 연간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지난 2일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은 890조5천억원으로, 연간 수익률은 -8.22%, 평가손실금은 79조6천억원(잠정 집계)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투자운용 수익률 -8.22%는 1988년 국민연금 제도가 도입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국민연금은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0.18%로 사상 첫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데 이어 2018년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약세 속에 수익률이 다시 마이너스(-0.92%)로 떨어진 바 있다. 지난해가 역대 세 번째 마이너스 수익률인데, 손실 폭은 가장 컸다.
기금운용본부는 "채권의 경우 가파른 금리 상승으로 수익률이 낮아진 반면 대체투자자산은 부동산, 인프라 자산의 평가가치 상승 등으로 전통자산 대비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며 “주식·채권이 동시에 대폭 하락한 것은 해외시장은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이후, 국내에선 2001년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체투자 확대와 달러 강세로 인한 환차익을 통해 손실 폭을 축소했다”고 덧붙였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해외 주요 연기금과 비교하면 지난해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는 입장이다.
주요 해외 연기금의 지난해 평균수익률은 일본 -4.8%, 캐나다 -5.0%, 노르웨이 -14.1%, 네덜란드 -17.6%다. 자산운용 성과를 금액가중 수익률이 아니라 투자기간별 수익률(시간가중)을 고려해 벤치마크수익률(BM·시장 전체 평균 수익률)과 비교해도 초과 성과를 냈다고 국민연금은 설명했다.
지난해 자산군별로 벤치마크 대비 초과 수익률은 국내주식 0.47%포인트, 해외주식 0.15%포인트, 국내채권 0.04%포인트, 해외채권 0.88%포인트씩 초과 성과를 냈다.
올해 2월 기준 국민연금기금의 금융부문 수익률은 5% 내외(잠정)로, 총적립금 규모는 930조원대를 회복한 상태라고 국민연금은 전했다.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은 "지난해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주식과 채권시장이 모두 좋지 않은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며 "올해는 금융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국민연금기금 수익률도 나아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