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1분기 경제성장률 0.3%… 민간소비 경제성장 견인

메뉴

경제

1분기 경제성장률 0.3%… 민간소비 경제성장 견인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4-25 14:07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해 1~3월 경제성장률이 상승 전환했다. 민간소비가 증가하면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은 면했다.

한국은행은 오늘(25일)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3%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직전 분기에는 2년 6개월만에 역성장했으나 한 분기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0.4%였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5% 증가했다.

민간소비는 지난해 2, 3분기에도 성장을 떠받친 주역이었다. 그러나 4분기 0.6% 감소하면서 전체 성장률도 함께 고꾸라졌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0.2% 늘었다.

정부 소비는 물건비 지출은 줄었지만, 건강보험급여비 지출 등 사회보장현물수혜 위주로 0.1% 증가했다.

반면 설비투자의 경우 반도체장비 등 기계류가 줄어 4.0%나 감소했다.

수출도 자동차 등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3.8% 반등에 성공했다. 직전 분기에는 반도체와 화학제품 수출 부진으로 -4.6% 감소했다. 다만 올해 1분기에도 수출의 GDP 성장 기여도는 여전히 마이너스(-0.1%포인트)에 머물렀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0.3%p로 분석됐다. 그만큼 민간소비가 1분기 성장률을 높였다는 뜻이다.

반대로 순수출은 성장률을 0.1%p 끌어내렸다. 최근 무역수지 적자 상황이 결국 경제 성장에도 타격을 준 셈이다.

업종별로 농림어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각각 2.5%, 2.6%, 1.8% 늘었다.

반면 서비스업의 경우 0.2% 줄었다. 의료와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은 늘었지만,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등이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8% 증가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이 종전 전망치 1.6%를 밑돌 것으로 본다. 2월 3개월 만에 눈높이를 0.1%포인트 낮췄으나 그보다 더 하락할 수 있다는 얘기다. 지난 11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성장률이 기존 전망치(1.6%)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음 달 성장률 하향 조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738,000 ▼645,000
비트코인캐시 701,000 0
이더리움 4,130,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5,740 ▲70
리플 4,041 ▲53
퀀텀 3,15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788,000 ▼654,000
이더리움 4,125,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5,670 ▲10
메탈 1,086 ▲2
리스크 605 ▲1
리플 4,037 ▲39
에이다 1,023 ▲1
스팀 19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800,000 ▼530,000
비트코인캐시 699,500 ▼2,000
이더리움 4,128,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5,720 ▲50
리플 4,041 ▲50
퀀텀 3,185 0
이오타 30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