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대웅제약, 美DDW 2023서 ‘펙수클루의 밤’ 개최... 임상 데이터 발표

메뉴

정치사회

대웅제약, 美DDW 2023서 ‘펙수클루의 밤’ 개최... 임상 데이터 발표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3-05-11 10:21

'펙수클루의밤'심포지엄에서위식도역류질환세계적권위자로니파스교수가펙수클루임상데이터에대해발표하고있다.
'펙수클루의밤'심포지엄에서위식도역류질환세계적권위자로니파스교수가펙수클루임상데이터에대해발표하고있다.
[더파워 이경호 기자] 대웅제약은 현지시각 8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3 소화기질환 주간’(DDW 2023)’에서 심포지엄 ‘펙수클루의 밤’을 성공리에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최종원 대웅제약 개발본부장의 환영사로 시작한 ‘펙수클루의 밤’은 정훈용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최석채 원광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심포지엄은 총 2개의 주제로 ▲펙수클루의 개발 배경 및 해외진출계획(발표: 이태연, 대웅제약), ▲GERD 질환과 치료 및 펙수클루의 임상 데이터 소개(발표: 로니 파스 교수,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교)로 진행됐다.

이날 펙수클루의 밤에는 국내외 소화기 연관학회 임원진을 포함한 해외 주요 오피니언 리더 70여 명이 참가해 펙수클루의 특장점과 P-CAB 제제 미래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패러다임이 기존 PPI제제에서 효과 빠른 P-CAB제제 중심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 공감한 가운데 펙수클루의 임상 데이터가 큰 주목을 끌었다.

두 번째 세션을 발표한 위식도역류질환의 세계적 권위자 로니 파스 교수는 펙수클루의 주요 임상 데이터를 소개하며 “펙수클루의 반감기는 9시간으로 이는 P-CAB 제제 중 가장 긴 시간”이라며, “긴 반감기 덕분에 1일 1회 투여만으로도 우수한 야간 위산분비 증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어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DDW2023대웅제약부스전경
DDW2023대웅제약부스전경
대웅제약은 DDW 2023 기간 동안 학술 부스를 설치하여 운영했다. 해외 학회에서 진행하는 펙수클루 첫 부스 행사로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각국의 소화기 전문의와의 활발한 학술적 교류가 이뤄졌다.

박은경 대웅제약 ETC마케팅본부장은 “이번 부스 운영은 펙수클루의 글로벌 전략 수립과 제품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진행했다”며, “특히 중국, 미국 등 세계적으로 P-CAB 개발 경쟁이 뜨거운데 P-CAB 강국으로서 대한민국을 대표해 펙수클루의 우수한 임상 데이터를 홍보하며 대웅제약의 자체 R&D 성과를 세계 무대에 발표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한편, 국산 34호 신약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는 지난해 7월 출시 이후 기존 PPI(양성자 펌프 억제제) 제제의 단점을 개선해, 위산에 의한 활성화 없이 양성자 펌프에 결합하여 빠르고 안정적으로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기전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에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소화기 국제학회 DDW 2023을 맞아 펙수클루의 우수성을 소개하고자 각국의 주요 소화기 전문가를 모시고 ‘펙수클루의 밤’ 심포지엄을 열었다”며, “앞으로도 펙수클루의 강점과 우수성을 대내외에 지속적으로 알리고 추가 적응증 확보와 제형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펙수클루를 연 매출 1천억원 규모로 성장시키고 2030년까지 글로벌 매출 1조 원을 달성해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을 넘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NO.1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06,000 ▼1,243,000
비트코인캐시 667,000 ▼3,500
이더리움 4,155,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810 ▼70
리플 3,949 ▼37
퀀텀 3,080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72,000 ▼1,288,000
이더리움 4,157,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860 ▼50
메탈 1,053 ▼6
리스크 597 ▼4
리플 3,951 ▼36
에이다 991 ▼15
스팀 19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60,000 ▼1,360,000
비트코인캐시 667,500 ▼3,500
이더리움 4,158,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820 ▼30
리플 3,946 ▼41
퀀텀 3,090 ▲60
이오타 29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