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금리 10%' 청년희망적금 68만명 중도해지...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 급감

메뉴

경제

'금리 10%' 청년희망적금 68만명 중도해지...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 급감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6-21 08:3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연 최고 10% 금리를 정책 상품인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가 7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시 당시 고금리에 일부 은행 앱이 마비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청년층 주머니 사정이 갈수록 나빠지며 가입자 4명 중 1명꼴로 적금을 깼다.

21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청년희망적금 운영 현황’에 따르면 상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최초 가입자는 289만 5546명에 달했다. 하지만 지난 5월 말 기준 중도 해지자 수는 68만 4878명으로 해지율은 23.7%에 달했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6월 6.7%(19만5290명), 9월 11.4%(32만9547명), 12월 16.6%(48만2018명), 올해 3월 21.1%(61만1005명), 5월 23.7%(68만4878명)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납부 금액대별 해지 현황을 살펴보면, ‘10만원 미만’ 납부자의 중도 해지율이 49.2%로 가장 높았다. ‘10만원 이상~20만원 미만’ 48.1%, ‘20만원 이상~30만원 미만’ 43.9%, ‘30만원 이상~40만원 미만’ 40.3% 등이 뒤를 이었다.

중도 해지자가 가장 많은 납입 금액대는 50만원 이상~60만원 미만으로 21만7637명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중도 해지율이 낮았다. 가입 상한 나이인 만 34세의 중도해지율은 21.2%인데 반해 가입 하한 나이인 만 19세의 해지율은 27.9%에 달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26.9%로 여성 21.6%보다 높았다.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만 19~34세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고자 출시한 정책 금융 상품이다. 만기 2년 동안 매달 50만원 한도로 납부할 경우 정부 지원금까지 합쳐 연 10% 안팎의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그러나 고물가·고금리에 저축 여력이 줄고 지출 변수가 많은 20·30 세대의 급전 수요가 맞물리며 중도 해지자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정책 목표 아래 최근 출시한 '청년도약계좌'의 중도 해지 방지 방안을 두고 추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로, 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로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 4000원) 등을 더해 5000만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 만기가 5년으로, 청년희망적금보다 길지만 적금 유지율 목표는 70%대로 잡고 있다”며 “적금 유지 방안을 위해 연구 용역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619,000 ▼568,000
비트코인캐시 692,000 ▼3,500
이더리움 4,123,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5,610 ▼130
리플 4,076 ▼3
퀀텀 3,139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619,000 ▼679,000
이더리움 4,125,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5,650 ▼90
메탈 1,079 ▼5
리스크 601 ▼4
리플 4,079 0
에이다 1,017 ▼13
스팀 197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560,000 ▼560,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5,000
이더리움 4,123,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5,600 ▼140
리플 4,073 ▼6
퀀텀 3,142 0
이오타 30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