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유지욱 교수팀, 모야모야 뇌출혈의 위험인자 밝혀내

메뉴

정치사회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유지욱 교수팀, 모야모야 뇌출혈의 위험인자 밝혀내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3-09-25 09:36

경희대병원신경외과유지욱교수
경희대병원신경외과유지욱교수
[더파워 이경호 기자] 경희대병원은 신경외과 유지욱 교수팀이 지난달 25일 모야모야 환자 뇌출혈 발생의 가장 많은 원인으로 알려진 ‘후방 모야모야 혈관 파열’의 위험인자 식별을 위한 연구를 진행, 그 결과를 미국 신경외과학회지에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미국 신경외과학회지는 신경외과 분야에서 제일 공신력 있는 저널로 손꼽히고 있다.

모야모야 환자의 약 40~50%에서 특이적으로 관찰되는 후방 모야모야 혈관은 대략 직경 1.0mm 정도의 작은 미세혈관이다. 최근 연구를 살펴보면 후방 모야모야 혈관이 있는 환자의 경우, 뇌출혈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졌다.

유지욱 교수팀은 성인 모야모야 환자, 총 76개 대뇌반구의 각종 영상자료(MRI, CT 등), 특히 혈관벽 MRI를 파열군과 비파열군으로 구분해 대조분석했다. 그 결과, ▲후방 모야모야 혈관이 큰 단면적을 가진 경우 ▲후방 모야모야 혈관이 단독으로 있는 경우 파열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했다.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유지욱 교수는 “희귀 난치성 질환인 모야모야의 임상 증상은 크게 뇌경색과 뇌출혈로 구분되는데 뇌출혈은 의식저하를 포함해 매우 치명적이지만, 위험도는 덜 알려진 상태”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위험한 후방 모야모야 혈관이 관찰되는 모야모야 환자들의 경우에는 뇌출혈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발표된 논문 제목은 성인 모야모야병에서 파열된 맥락막 문합부와 파열되지 않은 맥락막 문합부의 형태학적 차이 : 고해상도 혈관벽 영상연구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33,000 ▲139,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1,000
이더리움 4,08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5,200 ▼230
리플 3,995 ▼22
퀀텀 3,073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49,000 ▲63,000
이더리움 4,083,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230 ▼180
메탈 1,063 ▼8
리스크 591 ▼4
리플 3,993 ▼30
에이다 998 ▼9
스팀 19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5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685,500 ▼2,000
이더리움 4,084,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5,170 ▼210
리플 3,991 ▼29
퀀텀 3,049 0
이오타 3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