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우진 교수, 대한신경과학회 ‘SK 젊은 연구자상’ 수상

메뉴

정치사회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우진 교수, 대한신경과학회 ‘SK 젊은 연구자상’ 수상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3-11-14 09:33

분당서울대병원신경과이우진교수(왼쪽에서세번째)가'SK젊은연구자상'수상후기념촬영을하고있다.
분당서울대병원신경과이우진교수(왼쪽에서세번째)가'SK젊은연구자상'수상후기념촬영을하고있다.
[더파워 유연수 기자] 분당서울대병원은 신경과 이우진 교수가 이달 10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 ‘제42차 대한신경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SK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SK 젊은 연구자상은 대한민국 신경과학의 발전 및 지평 확대에 앞장서는 젊은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연구자의 수년간 연구 실적 및 연구계획서를 심사해 매년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이우진 교수는 뇌전증, 수면 질환, 뇌염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번에 난치성 뇌전증 중첩상태(뇌전증 지속상태) 치료 최적화를 위한 질병 활성도 평가 및 약물 반응 예측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계획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난치성 뇌전증 중첩상태는 2가지 이상의 항경련제를 고용량으로 사용하여도 발작이 지속되는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사망률이 25~30%에 이르고, 50%에서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는 등 매우 위험하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난치성 뇌전증 중첩상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질환의 중증도와 항뇌전증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치료 반응 및 예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치료율과 예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의료 자원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우진 교수는 “대한신경과학회에서 상을 받게 되어 신경과 의사로서 큰 영광”이라며, “진료와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신 훌륭한 선생님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향후 연구를 통해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약물반응 예측 뇌파 지표 및 생체 지표를 발굴하고, 나아가 난치성 뇌전증 중첩상태의 원인과 새로운 치료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4.69 ▼7.34
코스닥 802.33 ▲2.96
코스피200 431.13 ▼1.3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322,000 ▼1,468,000
비트코인캐시 681,000 ▼7,500
이더리움 4,065,000 ▼51,000
이더리움클래식 24,940 ▼400
리플 3,954 ▼67
퀀텀 3,066 ▼4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060,000 ▼1,939,000
이더리움 4,063,000 ▼59,000
이더리움클래식 24,930 ▼440
메탈 1,052 ▼30
리스크 602 ▼8
리플 3,950 ▼76
에이다 991 ▼15
스팀 195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370,000 ▼1,460,000
비트코인캐시 680,500 ▼9,500
이더리움 4,060,000 ▼58,000
이더리움클래식 24,820 ▼580
리플 3,951 ▼72
퀀텀 3,048 ▼52
이오타 29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