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박민 KBS 사장이 TV수신료 분리 징수로 인해 재정악화가 예상된다며 인건비를 약 1000억원 줄이겠다고 밝히자 여당인 국민의힘 소속 장제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놀라 신중한 검토를 당부했다.
국회에서 지난 18일 열린 ‘KBS·EBS 결산 승인’ 관련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TV수신료 분리 고지·징수 이후 내년 KBS의 수신료 수입 감소분에 대해 물었다.
이에 박 사장은 “명예퇴직, 연차휴가 촉진은 물론 임금 삭감도 적극 추진하고 재정 상황이 계속 악화할 경우 구조조정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보수적으로 검토한 결과 대략 37%, 2600억원 정도 (결손이) 예상된다”며 “1차적으로 각종 비용을 줄여 800억원 절감하고, 2차로 인건비 20% 절감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 의원이 “(KBS) 인건비가 5000억원대인데 거기서 20%면 1000억원 이상을 빼겠다는 얘기냐, 그만큼 구조조정을 하겠다는 것인지” 되묻자 “수신료 추이를 봐야겠지만 최악의 경우 37% 이상 수입이 급감할 경우 그런 대책을 시행할 수밖에 없다”고 박 사장은 답했다.
국민의힘 의원인 장제원 과방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방금 내년 한 해 인건비를 1000억원을 줄이겠다는 말씀을 하셔서 제가 좀 당황스럽다”며 “1년만에 1000억원이라는 인건비를 줄일 수가 있다고 생각하느냐. 굉장히 저는 충격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KBS 경영을 정상화시킨다는 당위성은 존중하지만, 인적 구조조정 문제는 굉장히 신중할 필요가 있고, 몇 개는 계획을 잡아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해야한다”며 “직장을 잃은 가장의 가정 문제, 사회적 비용 손실 등을 KBS가 충분히 생각하라”고 말했다.
이인영 의원은 “수신료 분리 징수는 정권과 방송통신위원회 혹은 KBS 지도부의 정치적 판단의 결과인데 그 책임을 KBS 구성원이 고스란히 지는 게 온당한가”라며 “KBS 사장이라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할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또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이 KBS 구조조정안 계획에 대해 질의하자 박 사장은 “우선 연월차 수당을 전체 소거하면 3년 간 186억원, 한 해 65억원 정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관리직이 반납한 임금은 33억원이고, 신규채용 중단·자연감소분은 100억원 정도로 기대한다”며 “명예퇴직 대상은 100~120명, 120~240억원 정도다. 노조 동의를 얻어 임금을 10% 삭감하게 되면 495억원 절감할 수 있는데 그걸 모두 합치면 대략 1000억원이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