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전국

주효진 개인전 - 상실을 응시하다

이강율 기자

기사입력 : 2024-06-09 14:03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응시하다.

주효진 개인전 - 상실을 응시하다
(더파워뉴스=이강율 기자) Hee-jung_digital C-print_80x45cm_2024

한 개인의 욕망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의 말이다.라캉은 무의식이 언어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언어가 인간의 무의식과 욕망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 채워지지 않은 욕망을 주효진 작가의 ‘상실을 응시하기’ 가 6월 11일부터 6월 23일까지 갤러리 자인제노(기획 :이두선)에서 열린다.

이미지는 그 자체로 욕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작품의 사진에는 보이는 것보다 언제나 더 많은 것을 보도록 욕망케 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사진은 그것이 상징하는 의미와 기억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진리를 부풀리기 마련이다.특히 인물이 피사체로 등장하는 사진 속 ‘나’ ‘그’, 혹은 ‘그녀’라는 존재의 형상은 타인에 의해 사회 속에서 규명될 수 밖에 없으며, 카메라를 응시하는 인물의 응시는 몰입과 무관심, 존재와 부재 사이의 어느 쯤에 머문다. 스스로 오브제로 존재하는 인물은 자기로부터 완전히 구별되지 않고 또한 타자로 완전히 포착되지 않는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주체의 구성에서 상실된 자기의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다. ‘응시’의 개념은 이러한 결여를 채우려는 주체의 욕망과 직결된다.

주체의 구성에서 상실된 부분은 사진이라는 시각계의 구조적인 불확실성과 결여로 연결되며 작가 역시 그 포장된 진리를 응시하는 두려움을 알고 있다.그러기에 작가는 좀 더 진리에 가까운 상실의 실체를 표현하고자 응시의 장면에 드러나는 인물의 욕망을 기호로 표현하기로 했다. 움베르트 에코의 저서 <논리와 추리의 기호학>에 따르면 사회적 의미와 물질성을 함의하고 있는 기호들은 지각 편린을 통해 이미지를 해석하고 그 실체를 자기객관화를 통해 받아들이기까지의 과정에 감상자의 적극적인 개입을 유도하므로 타자의 해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사진 속 이미지에 존재하는 불확실성과 상실된 주체의 의미를 규정하기에 더 합리적인 방법인 것이다. 주체가 외부적인 응시에 의해 구성된다고 주장했던 라캉의 개념은 이러한 기호의 지각과정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실체의 의미를 발현시킬 것이고 그로인해 인물들이 응시하는 것, 욕망하는 것은 더 이상 타자의 시선으로 정의되지 않고 사진의 영역에서 포장되지도 않은 진실로 구현되기를 희망한다.

주효진(1976~)은 홍익대학교 판화과 졸업 후, 뉴욕 주립대학에서 Fine Art 전공 석사와 School of Visual Arts New York에서 Computer Art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2004년부터 현재까지 총 9회의 개인전과 국내외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고 국립현대 미술관 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레지던시 2기 입주 작가이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00,000 ▲1,125,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1,000
이더리움 4,10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5,560 0
리플 4,029 ▲8
퀀텀 3,12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848,000 ▲1,186,000
이더리움 4,11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5,600 ▲10
메탈 1,074 ▲2
리스크 598 ▲3
리플 4,029 ▲9
에이다 1,005 ▲3
스팀 19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20,000 ▲1,060,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1,500
이더리움 4,10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5,670 ▲70
리플 4,027 ▲7
퀀텀 3,128 0
이오타 30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