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6 (수)

더파워

비은행권 부실대출 2년 만에 3배 증가...농협·신협 등 상호금융 '심각'

메뉴

경제

비은행권 부실대출 2년 만에 3배 증가...농협·신협 등 상호금융 '심각'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10-14 12:00

비은행 2022년 1/4 21.4조 → 2024년 2/4분기 67.8조원로 계속 증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최근 금융기관의 부실 대출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정성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갑)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권별 고정이하 여신 변동현황’자료에 따르면, 금융기관의 고정이하여신은 업권에 관계없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정이하여신은 금융기관이 빌려준 자금이 3개월 이상의 연체가 발행하여 회수가 어려운 부실대출을 의미한다.

2022년 1/4분기 말 금융권 전체의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총 25.2조원이었지만 올해 2분기말 73.9조원으로 3배(293%) 가까이 증가했다. 이 중에서 비은행권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2022년 1/4분기말 21.4조원에서 67.8조원으로 3배(316%)가 넘는 46.4조원이 증가했다.

반면, 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은 3.8조원에서 6.1조원으로 2.3조원(62%)만이 증가하여 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비중은 15.1%에서 8.3%로 감소했다.

비은행권 부실대출 2년 만에 3배 증가...농협·신협 등 상호금융 '심각'
부실이 가장 심각한 업종은 농협, 수협,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등이 포함된 상호금융이다. 상호금융의 부실대출은 2022년 1/4분기말 12.1조에서 2024년 2분기말 41.1조로 3.4배가 증가했다. 2022년 1분기 말에는 전체 부실대출의 중 48%를 차지했지만, 올해 2분기말에는 55.6%까지 비중이 증가했다.

다른 비은행 금융기관도 유사한 실정이다. 같은 기간동안 저축은행의 부실대출은 3.6조원에서 11.3조원으로 7.7조원(3.1배)이 증가했고, 카드사 등 여신전문 금융기관은 3.5조원에서 7.8조원으로 4.3조원(2.3배), 증권사는 1.9조원에서 6.1조원으로 4.2조원(3.1배), 보험사는 0.3조원에서 1.5조원으로 1.2조원(5배)이 증가했다.

이렇게 부실대출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이유는 부동산PF 구조조정과 더불어 취약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 대출이 전 금융업권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안된다.

정성호 의원은 “상호금융만이 아니라 모든 금융기관의 부실대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실을 엄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며 “한국은행은 특히 비은행권의 금융안정성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15.28 ▲13.25
코스닥 812.88 ▲13.51
코스피200 434.78 ▲2.2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94,000 ▲357,000
비트코인캐시 673,500 ▲5,500
이더리움 4,198,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5,240 ▲180
리플 3,999 ▲21
퀀텀 3,114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13,000 ▲561,000
이더리움 4,182,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220 ▲170
메탈 1,074 ▲3
리스크 606 ▲4
리플 3,991 ▲16
에이다 1,002 ▲4
스팀 19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20,000 ▲490,000
비트코인캐시 673,000 ▲5,000
이더리움 4,197,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5,230 ▲20
리플 3,998 ▲21
퀀텀 3,114 0
이오타 30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