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이 즉각 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사건을 검찰에 넘겨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4일 야당 정무위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금감원이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과 가족들, 최대 주주, 관련 법인 등 10개 안팎의 계좌에서 2023년 5월 이후 수백억 원어치의 삼부토건 주식을 매도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들이 주가 급등 시기에 주식을 처분해 얻은 차익이 최소 100억 원대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주가조작을 통해 거대한 시세차익이 발생했다는 것은 금융 범죄의 실체가 드러났다는 의미”라며 “금감원은 더 이상 ‘조사 중’이라는 이유로 시간을 끌 것이 아니라 즉각 검찰과 협력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CBS노컷뉴스 취재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삼부토건의 대주주 일가와 경영진이 100억 원대의 시세 차익을 얻은 주가조작 정황을 포착하고 사실 관계를 조사 중이다.
금감원은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의 이상 거래 보고서를 토대로 2023년 9월 말부터 조사를 진행해 왔으며, 삼부토건이 무자본 인수합병(M&A) 이후 허위성 호재 정보를 활용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띄운 전형적인 불공정 거래 행위에 해당할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금감원 측은 이에 대해 “불공정거래 여부를 조사 중이지만 조사 관련 내용은 확인하거나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 참석을 계기로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 분류되며 주목받았다. 당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해당 포럼에 참가하면서 삼부토건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이후 1,000원대였던 삼부토건의 주가는 2023년 7월 장중 5,500원까지 급등했다. 금감원은 이 기간 동안 특정 계좌에서 주식을 대량 매도해 실현한 차익이 100억 원을 훨씬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삼부토건은 건설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경영난으로 지난 24일 법원에 법정관리 개시를 신청한 상태다. 법정관리 신청 후 증시 거래는 정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