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발행 작년말부터 급증…2년새 최대

메뉴

산업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발행 작년말부터 급증…2년새 최대

이설아 기자

기사입력 : 2025-03-17 09:0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홈플러스의 주된 단기자금 조달 수단이던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발행이 작년 말부터 급증해, 회생신청 직전인 지난달에는 최근 2년 사이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강등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단기채권을 발행했는지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미 지난해 말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이 입수한 신영증권의 2023~2025년 월별 홈플러스 ABSTB·기업어음(CP)·단기사채 발행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홈플러스의 ABSTB 발행액은 1,518억 원으로, 최근 2년 내 월별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신영증권의 ABSTB 발행액은 전년 대비 약 30% 증가했으며, 특히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간 발행액이 3,60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늘어나면서 증가 속도가 빨라졌다.

신영증권은 홈플러스의 ABSTB 발행을 단독 주관하고, 이를 투자자와 다른 증권사에 판매했다. CP 및 전자단기사채 발행은 BNK투자증권, 한양증권, DS투자증권, 리딩투자증권 등도 주관했지만, 신영증권이 가장 큰 규모를 담당했다. 지난해 신영증권의 ABSTB·CP·단기사채 주관 발행 총액은 전년보다 42.1% 증가했으며,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간 4,948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0.6% 증가하는 등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홈플러스가 발행한 CP·전단채 규모는 약 2,000억 원,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 규모는 약 4,000억 원에 이른다.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 신영증권이 신용등급 강등 사실을 사전에 알고도 단기채권을 발행했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 중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3일부터 신영증권과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등 신용평가사 2곳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홈플러스는 지난달 25일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이 한 단계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예비평정을 전달받고도 820억 원 규모의 ABSTB를 발행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후 28일 단기사채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강등된 뒤, 이달 4일 자정께 기습적으로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시장에서는 홈플러스가 지난해 연말부터 단기채권 발행을 확대한 것이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회생신청을 준비한 정황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홈플러스는 매년 2월 말과 8월 말 반기 신용평가를 받아왔으며, 한국신용평가는 2022년 2월 말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A2에서 A3+로, 2023년 2월 말 A3+에서 A3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또한, 한국기업평가는 2022년 8월과 2023년 9월 각각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강등했다.

과거 사례를 보면, 기업이 신용등급 강등을 미리 인지하고도 단기채권을 지속적으로 발행한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 2011년 LIG건설의 회생절차 신청 열흘 전까지 2,151억여 원 상당의 CP를 발행한 구자원 LIG그룹 명예회장과 일가족은 사기 혐의로 처벌받았으며, 2013년 동양그룹은 부도 위험을 숨기고 1조 3,000억 원대의 CP와 회사채를 발행해 수만 명의 투자자에게 피해를 입힌 사례가 있다. 현재현 당시 동양그룹 회장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로 징역 7년을 선고받고 복역한 바 있다.

이인영 의원은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채권 발행을 지속했다면 이는 투자자 기만행위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계획하면서도 단기채권을 계속 발행해온 정황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한 진상 규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전날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을 발표하며, 홈플러스 ABSTB와 관련해 “매입채무유동화 관련 채권자들을 포함한 모든 채권자들과 원만한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05,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0
이더리움 4,04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5,170 ▲70
리플 3,870 ▲4
퀀텀 3,138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78,000 ▼154,000
이더리움 4,04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5,160 ▲70
메탈 1,076 ▲7
리스크 602 ▲1
리플 3,869 ▲3
에이다 1,008 ▲4
스팀 19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20
리플 3,844 ▼15
퀀텀 3,147 ▲10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