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1분기 중고차 거래 4.3% 감소…모닝·E클래스 ‘중고차 인기 모델’ 1위

메뉴

산업

1분기 중고차 거래 4.3% 감소…모닝·E클래스 ‘중고차 인기 모델’ 1위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4-11 09:44

중고차단지(본기사와관련없음)/사진=연합뉴스
중고차단지(본기사와관련없음)/사진=연합뉴스
2025년 1분기 국내 중고차 실거래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둔화와 소비심리 위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중고차 시장 분석 전문기관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거래 등록된 중고차는 총 58만859대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60만6,997대에 비해 2만6,138대 줄어든 수치다.

◆ 국산은 ‘모닝’, 수입은 ‘E클래스’가 최다 거래

가장 많이 거래된 국산 중고차 모델은 기아 ‘모닝(TA)’으로 총 1만1,738대가 실거래됐다. 이어 쉐보레 ‘스파크’(1만184대), 현대 ‘그랜저(HG)’(9,151대)가 뒤를 이었다. 수입차 부문에서는 벤츠 ‘E클래스(5세대)’가 6,257대로 가장 많이 거래됐으며, BMW ‘5시리즈(7세대)’와 ‘5시리즈(6세대)’가 각각 3,498대, 2,344대로 2, 3위를 기록했다.

브랜드별로는 국산차는 기아(14만7,614대), 현대(13만9,934대), 쉐보레(3만4,805대) 순으로 실거래가 많았다. 수입차는 벤츠(2만1,182대), BMW(1만9,194대), 아우디(6,395대)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특히 제네시스는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하며 국산 브랜드 중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였다.

◆ 전기차·하이브리드는 ‘성장’, 디젤차는 ‘주춤’

연료별로는 휘발유 차량이 28만5,867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유(12만4,366대), LPG(4만1,313대), 하이브리드(2만6,357대), 전기차(1만832대) 순이었다. 주목할 점은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의 거래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6%, 47.4% 증가했다는 점이다. 반면 경유차는 10.4%, LPG차는 8.6% 감소하며 내연기관 차량의 감소세를 나타냈다.

◆ 세단·SUV 여전히 강세…왜건·쿠페는 뒷걸음질

차량 외형별로는 세단(22만1,711대), SUV(13만8,797대), 해치백(7만362대) 순으로 거래가 활발했다. SUV는 소폭(0.1%) 증가하며 탄탄한 수요를 이어갔고, RV 차량 역시 0.6% 증가했다. 반면 해치백(-7.5%), 쿠페(-9.6%), 왜건(-7.8%) 등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 연령대별 거래 ‘50대 최다’…70대는 증가세

성별로는 남성의 중고차 거래가 33만718대로 전체의 약 72%를 차지했으며, 여성은 12만9,984대였다. 각각 전년 대비 4.0%, 3.8% 감소한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11만5,736대로 가장 많았으며, 40대(11만3,745대), 30대(10만154대) 순이었다. 눈에 띄는 점은 70대 이상 연령층의 중고차 거래가 6.2% 증가한 점으로, 고령층의 자동차 이용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중고차 시장, ‘친환경 전환’과 ‘고령층 수요’가 키워드

전반적으로 2025년 1분기 중고차 시장은 전년 대비 위축된 모습을 보였지만, 친환경차와 고령층 수요가 새로운 활력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거래량의 가파른 증가세는 친환경 트렌드가 중고차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70대 이상 소비자층의 존재감 확대는 향후 중고차 유통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는 “중고차 시장이 외형적으로는 다소 위축됐지만, 친환경차 확대와 연령대별 소비 특성 분석 등 새로운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하반기 시장 반등을 위해서는 거래 투명성과 소비자 신뢰 확보가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44,000 ▼1,292,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3,000
이더리움 4,123,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660 ▲80
리플 4,080 ▲14
퀀텀 3,125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70,000 ▼1,230,000
이더리움 4,124,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680 ▲160
메탈 1,074 ▼6
리스크 600 ▼1
리플 4,088 ▲13
에이다 1,007 ▼14
스팀 19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670,000 ▼1,370,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1,500
이더리움 4,12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5,660 ▲110
리플 4,073 ▲10
퀀텀 3,128 ▼14
이오타 3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