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한국 제조업, GDP 대비 24.5%가 미·중 수요 의존…주요 경쟁국 중 가장 높아

메뉴

산업

한국 제조업, GDP 대비 24.5%가 미·중 수요 의존…주요 경쟁국 중 가장 높아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5-21 15:04

경총 “제조업 경쟁력 제고 위해 정부 지원 시급”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 제조업의 국내총생산(GDP) 중 미국과 중국 수요에 대한 의존도가 24.5%에 달해, 주요 제조업 강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의존도가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미·중 간 통상 갈등과 글로벌 경기 둔화가 한국 제조업에 더 큰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1일 발표한 ‘우리 제조업 국내 및 해외 수요 의존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국 제조업 GDP는 4,838억 달러로, 2000년(1,612억 달러)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으며, 세계 제조업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6%에서 2.8%로 소폭 상승했다. 세계 순위는 8위에서 6위로 올랐다.

같은 기간 미국의 제조업 비중은 27.1%에서 17.0%로 감소했고, 중국은 6.3%에서 27.1%로 증가하며 세계 1위에 올랐다.

보고서는 우리 제조업의 해외 수요 의존도가 2000년 52.7%에서 2023년 58.4%로 높아진 반면, 국내 수요 의존도는 47.3%에서 41.6%로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 수요 의존도는 4.8%에서 10.8%로 두 배 이상 증가했고, 미국 수요 의존도는 14.8%에서 13.7%로 소폭 줄었다.

이에 따라 2023년 기준 한국 제조업 GDP에서 미·중 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은 24.5%로, 일본(17.5%)과 독일(15.8%)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미국과 중국의 경제 활동 위축이나 통상 마찰이 심화될 경우, 다른 국가보다 우리 제조업이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를 포함한 전기장비 업종의 해외 수요 의존도는 76.7%에 달했고, 미·중 수요 의존도는 37.5%로 대만(53.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글로벌 통상환경이 악화되는 가운데, 해외 수요 특히 미·중 의존도가 높은 우리 제조업은 더욱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며 “제조업 없이는 경제 재도약도 없다. 정부와 정치권의 전폭적인 경쟁력 강화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3.21 ▲29.47
코스닥 795.60 ▲5.24
코스피200 425.68 ▲3.6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43,000 ▼61,000
비트코인캐시 693,500 ▼2,000
이더리움 3,763,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60
리플 3,284 ▼11
퀀텀 2,869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23,000 ▲44,000
이더리움 3,762,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3,940 ▼60
메탈 969 ▼3
리스크 544 ▼13
리플 3,283 ▼12
에이다 842 ▼6
스팀 18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9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93,000 ▼2,500
이더리움 3,767,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3,910 ▼140
리플 3,284 ▼13
퀀텀 2,867 ▼3
이오타 2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