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강화 기조에 따라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는 미국 예일대 예산연구소(Budget Lab)의 분석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평균 실효 관세율이 기존 2.5%에서 16.6%까지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실효 관세율은 총 수입액 대비 관세 납부액의 비율을 뜻하는 지표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중에는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실효 관세율이 1.5%에서 2.5%로 상승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예고한 관세가 오는 8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될 경우, 실효 관세율은 20.6%로 1910년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1930년대 대공황 악화의 주된 원인 중 하나였던 ‘스무트-홀리 관세법’ 당시의 수준을 웃도는 수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과 EU)에 대해 차등화된 관세를 일방적으로 발효했다가, 7월 8일로 한 차례 연기한 데 이어 다시 8월 1일로 시행 시점을 미뤘다. 이 과정에서 한국을 포함한 25개 경제주체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율이 담긴 서한도 공개됐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충분히 만족할 만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할 경우, 관세는 실제로 부과될 것”이라면서도 “현재 각국과의 협상은 계속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관세 수입도 급증하고 있다. 예산연구소에 따르면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이 관세를 통해 거둬들인 수입은 누적 1천억달러(약 138조 원)를 넘어섰다. 2025회계연도(2024년 10월~2025년 9월) 기준으로 올해 5월까지의 관세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연말까지 관세 수입이 3천억달러(약 415조 원)를 훌쩍 넘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실효 관세율 급등이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예일대 에르니 테데스키 국장은 “트럼프의 첫 임기에서 벌어진 일은 지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규모가 작았다”며 이번 관세 강화의 파장을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