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의회·행정 연대로 송·변전설비 건설 대응에 총력
▲지난 29일 의회 1층 회의실에서 진행된 임실군의회 초고압 송전선로 대책 특별위원회 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임실군의회)[더파워 이강율 기자] 임실군의회는 29일 의회 1층 회의실에서 ‘임실군 송전탑 백지화 대책위원회’와 함께 송·변전설비 건설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정흠 송전특위 위원장과 위원, 장종민 의장, 주민대책위 상임·공동대표, 의회 및 군 공무원 등 23명이 참석해 ▲송·변전설비 관련 특강 ▲간담회 ▲임실군의회 특위 소개 및 활동계획 ▲임실군 송전탑 대책위 활동계획을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한국전력이 임실 지역에 다수의 송·변전설비 건설을 계획하면서도 주민에게 충분한 설명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북 도내 지자체 가운데 임실에 가장 많은 송·변전설비가 예정돼 있어 지역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주민대책위는 “임실 송·변전설비는 수도권 반도체 산업단지를 위한 것으로, 지역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피해만 준다”며 “정부는 지역별 전력 자급률 100%를 목표로 전력수급 기본정책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다음 달 19일로 예정된 제10차 입지선정위원회를 앞두고 ▲행정·의회·주민대책위 참여 협의체 구성 ▲주민교육 및 홍보 강화 ▲전북도의회 및 시·군의회와의 연대 ▲도지사 및 국회의원 면담 등 대내외 대응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김정흠 위원장은 “지역 여론을 환기시키고 송·변전설비 건설을 공론화하기 위해 군민 교육이 시급하다”며 “주민·의회·행정이 하나 되어 실질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장종민 의장은 “주민과 반대특위의 깊은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주민 뜻이 외면당하지 않도록 의회도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강율 더파워 기자 kangyulee@gmail.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