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시민들, 공공기관 이전·문화·예술시설·학생 전용공간 등 대안 제시
▲전남도교육청은 26일 목포신안비치호텔에서 교육연구정보원, 목포시 등과 ‘목포고·목포여고 통합 이설 후 기존 학교부지 활성화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전남도교육청 제공) [더파워 손영욱 기자] 목포시민들은 목포고와 목포여고의 통합·이설에 따른 기존 원도심 학교부지 활용방안에 대해 관공서·공공기관 이전, 문화·예술시설, 학생 전용공간 활용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전남도교육청은 지난 26일 교육연구정보원, 목포시 등과 ‘목포고·목포여고 통합 이설 후 기존 학교부지 활성화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고 교육·문화·행정 거점으로의 재생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존 목포고와 목포여고의 학교부지 활용 방안을 전문가와 함께 모색하고, 목포 원도심의 공동화 방지를 넘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미래교육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전남교육청 윤양일 사무관은 ‘정책 추진 방향 안내’를,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조창희 팀장은 ‘원도심 내 공공부지 활용의 의미와 필요성’을, 전남교육정책연구소 김이수 연구위원은 ‘학교부지 활용 의견조사 결과’ 등을 발표했다.
이어 전남교육정책연구소 고윤혁 소장이 좌장을 맡아 조옥현·최선국 전남도의원, 장흥교도소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단 김영현 단장, 목포YMCA 주인철 사무총장이 참여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토론회에서 최선국 전남도의원은 '목포고 부지의 서부권 복합문화교육 거점으로 지정'을 제안했으며, 조옥현 전남도의원은 '공공성과 동시성, 연결성 구현이라는 실행전략 아래 '목포형 교육도시' 재구성'을 주문했다.
전남교육정책연구소는 이날 제시된 의견은 물론 오는 9월 주민공청회와 10월 연구결과 보고 등을 거쳐 최종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 같은 결과는 도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가 지난달 학생 1000명과 학부모 500명, 초·중·고 특수교원 및 교육청·시청 공무원 500명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시민은 관공서·공공기관 이전(27.6%)을, 학부모와 교원은 문화·예술시설(32.8%, 29.8%)을, 학생은 학생 전용 공간(32.9%)을 가장 적절한 활용으로 꼽았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지역사회 요구와 현실을 반영한 구체적 제안이 나왔다.
조옥현 전남도의원은 “공공성과 연결성을 구현해 ‘목포형 교육도시’ 재구성의 마무리를 지어야 한다”며 구 목포고 부지는 확장형 도서관과 학생복합문화시설로, 구 목포여고 부지는 목포교육지원청 이전 부지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최선국 전남도의원은 “목포고 부지를 서부권 복합문화교육 거점으로 지정해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면서 “도서관 이전과 연계한 복합 공간 조성을 통해 기존시설 간 통합적 공간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현장 참석자들도 행정기관, 문화시설, 학습공간을 아우르는 복합적 활용 방안에 공감대를 보였다. 전남교육정책연구소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해 최종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김대중 전남교육감은 영상 인사말을 통해 “목포고·목포여고 통합은 전국적으로도 도심 고등학교 간 첫 통합 사례”라며 “구 학교부지 활용이 학교와 지역사회를 되살리는 선순환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손영욱 더파워 기자 syu4909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