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동아에스티는 20일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크리스탈파이(XtalPi)와 면역 및 염증 질환 치료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크리스탈파이가 보유한 AI·양자물리학·로보틱스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자동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양사는 해당 플랫폼을 활용해 면역 및 염증 질환의 신규 타깃을 발굴하고,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및 베스트 인 클래스(best-in-class) 후보물질 탐색을 추진할 계획이다.
크리스탈파이 플랫폼은 ▲딥러닝 기반 분자 설계 ▲양자물리학·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한 약물-표적 상호작용 예측 ▲자동화된 화학 합성 ▲후보물질의 약리학적 특성 검증 등을 통해 신약개발 속도를 높이고 화학적 탐색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동아에스티는 후보물질 타당성 평가, 약효 및 안전성 검증, 전임상·임상 개발 전략 수립 등 전 과정에 참여하며, 향후 파이프라인 확대와 상업화 가능성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크리스탈파이는 2015년 MIT 양자물리학 전문가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생명과학 및 신소재 분야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해온 AI 신약개발 선도 기업이다.
크리스탈파이 존 왕(John Wang) 신약개발 수석부사장은 “동아에스티의 전문성과 당사의 AI-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해 정밀의약 분야 혁신을 이끌겠다”며 “글로벌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제를 제공해 시장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은 “당사는 기존 저분자 화합물 중심에서 표적단백질 분해제(TPD), 바이오의약품, 항체-약물접합체(ADC), 유전자 치료제 등으로 연구개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차세대 면역·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