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조성복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코로나19 손실보상제에 대해 "정부의 큰 그림이 4월경에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손실보상을 법으로 제도화해야 된다는 것에 정부도 동의한다.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도 속도를 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통상 연구용역이 6개월 걸리지만 몇 개의 출연기관에 대해서는 연구용역을 최소한 3월 말까지 제출해 달라고 요구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 사이 관계부처 TF에서는 손실보상 대상, 기준, 규모는 어떻게 하고 법과 시행령에는 어떻게 나눌 것인지 토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3월 중 연구보고서와 정부 내부 검토 의견을 감안해 4월에 법안 형태로 제출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빠르면 그럴 것 같다"며 "정부도 상당히 관심이 많은 사안이고 시급해서 속도를 내겠다"고 답했다.
홍 부총리는 손실보상제의 정의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손실보상'과 '피해지원' 중 무엇으로 할지 면밀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법률 검토를 받아본 바에 의하면 차라리 피해 지원으로 하면 더 탄력성 있고 폭넓게 지원할 수 있는데 손실보상으로 하게 되면 손실이 명확하게 규정이 안 되면 보상하지 못한다는 법 해석도 있다"며 "손실보상인지 피해지원인지 법리적으로 좀 더 짚어보고 전문가 의견도 들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법적 근거를 어느 법에 담을 것인가도 검토하고 있다.
현재 별도의 특별법을 제정하거나,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나 감염병예방법 등 기존 법률을 개정하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홍 부총리는 "감염병예방법으로 할지 소상공인 관련법으로 할지 별도로 법을 만들지에 대해서도 부처마다 의견이 다르다"며 "조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감염병예방법에 근거를 두자는 주장에 대해 기재부가 수용 곤란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보건복지위원회에 상정된 안건에 대해 의견을 물어봐서 그에 대해 검토가 안 끝났기 때문에 신중하자는 취지로 말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