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8 (금)

더파워

하태경 의원 "리니지·메이플스토리 등 5대 악덕 게임 공정위 신고·접수"

메뉴

산업

하태경 의원 "리니지·메이플스토리 등 5대 악덕 게임 공정위 신고·접수"

김필주 기자

기사입력 : 2021-03-16 11:28

확률형아이템 확률 조작 의혹 관련 자체 조사 결과 리니지·마비노기 등서 추가 의혹 적발

16일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리니지, 메이플스토리, 던파 등 5대 악덕 게임을 공정위에 신고 및 접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16일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리니지, 메이플스토리, 던파 등 5대 악덕 게임을 공정위에 신고 및 접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필주 기자] 아이템 확률 조작 의혹을 받고 있는 ‘리니지(엔씨소프트), 메이플스토리·던전앤파이터·마비노기(넥슨), 모두의마블(넷마블)’ 등 이른바 5대 악덕 게임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조사를 받게 됐다.

16일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이들 ‘확률장사 5대 악덕 게임’의 자체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공정위에 신고·접수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7일 하 의원은 메이플스토리 등 5대 악덕 게임에서 확률형아이템의 확률 조작 의혹과 관련해 다수의 제보를 받고 자체 조사를 펼친 바 있다.

특히 이번 조사를 통해 하 의원은 이른바 ‘1등 없는 로또’라며 비난을 받은 메이플스토리의 ‘큐브’ 논란과 유사한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3개의 사례를 추가 발굴했다.

바로 마비노기의 세공 시스템·자이언트 종족 아이템과 리니지의 숙련도 시스템이다.

마비노기는 ‘세공’으로 아이템을 강화하면 추가적인 능력을 부여해 준다. 이때 최상위의 능력을 얻으려면 엄청난 돈을 투자해 뽑기를 해야 한다. 하 의원에 따르면 한 게이머가 직접 아이템별로 각각 1000회나 넘는 실험을 한 결과 최상위급 능력이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은 아이템은 9개 중의 7개나 차지했다.

또한 마비노기 자이언트 종족 아이템 관련 ‘제로 확률’ 의혹이 사실로 밝혀진 사건도 있었다.

특정 캐릭터만 착용할 수 있는 아이템에 추가되는 능력은 유료 결제 후 확률형 뽑기를 해야 하는데 어떤 상황에서는 뽑히기도 하고 어떤 상황에서는 뽑히지 않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실제 한 게이머는 구체적인 실험 결과를 마비노기 공식홈페이지에 게재하기도 했다. 이에 운영사는 자체 조사를 벌였고 의혹은 결국 사실로 드러났다. 데이터가 누락 돼 추가능력을 얻을 수 없었다고 시인한 것이다.

이는 아이템 ‘제로 확률’의 대표적인 사례였지만 당시 확률 조작 문제가 불거지지 않아 운영사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선에서 유야무야 문제를 덮어 버렸다.

‘제로 확률’ 의혹은 엔씨소프트 게임 리니지에서도 제기됐다. 리니지 역시 아이템을 계속 사용하면 숙련도가 올라가면서 아이템의 능력까지 좋아지는데 이때 더 좋은 능력을 얻으려면 엄청난 돈을 들여서 뽑기를 해야 한다.

이에 한 게이머가 600회에 걸쳐 숙련도 시스템을 실험했으나 특정한 능력은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하 의원은 “이같은 사례처럼 확률형아이템 뽑기 과정에서는 최소 수백만원 많게는 수억원의 돈이 들어간다”며 “그러나 게임 업계는 각종 편법을 통해 확률 정보를 숨기고 있어 스스로 확률을 모두 공개하지 않으면 조작을 직접 확인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확률 조작 의혹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확률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드는 게임회사들의 교묘한 방해 행위도 고발했다.

그는 “이를테면 확률 정보를 검색하지 못하도록 저화질 그림 파일로 제공하거나 링크를 홈페이지 최하단 작은 글씨로 배치해 확률 정보를 쉽게 확인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행위들이 있다”며 “이러한 21개의 소비자 권익 침해 행위를 유형별로 정리해 공정위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한편 하 의원실은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와 3대 게임사(넥슨코리아·엔씨소프트·넷마블)에 자료를 협조 요청했으나 아직 답변이 취합되지 않아 이번 조사에는 반영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GSOK의 경우 자료 제출을 일체 거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 의원은 추후 제출된 3대 게임사의 답변을 바탕으로 보완 자료를 권익위에 추가 제출할 방침이다.

끝으로 하 의원은 “만약 국회가 게임 업계의 위법 행위를 확률적으로 처벌하고 그 확률은 공개하지 않도록 법을 통과시킨다면 이를 게임 업계가 과연 환영해줄지 의문이다”라며 “그동안 산업 보호라는 허울 좋은 명분에 숨어 소비자를 우롱한 대가를 한꺼번에 치러야 한다”며 게임사들을 강하게 비판했다.

김필주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2.29 ▲5.91
코스닥 818.27 ▲6.04
코스피200 431.64 ▲0.4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918,000 ▲379,000
비트코인캐시 676,500 ▼500
이더리움 4,68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7,230 ▲100
리플 4,583 ▲74
퀀텀 3,16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717,000 ▲295,000
이더리움 4,678,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7,210 ▲90
메탈 1,088 ▼5
리스크 630 ▲5
리플 4,580 ▲88
에이다 1,103 ▲7
스팀 20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90,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676,500 ▼1,500
이더리움 4,685,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7,260 ▲40
리플 4,581 ▲75
퀀텀 3,190 0
이오타 31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