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이 총재는 한국은행 창립 제71주년 기념사를 통해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겠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 전개 상황, 경기 회복의 강도와 지속성,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조정 시기 및 속도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경제주체들과 사전에 충분히 소통함으로써 이들이 충격 없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향후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시장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취해야 하겠다”면서 “최근에는 부동산·주식뿐 아니라 암호자산으로까지 차입을 통한 투자가 확대되면서 가계부채 누증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출상환유예 등 코로나19 지원조치가 종료될 경우 다수의 취약차주가 채무상환에 애로를 겪게 될 가능성도 있다”며 “이같은 대내외 리스크 요인들이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정부·감독당국과 함께 적절한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총재는 디지털화폐 등 지급결제 환경 변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도입할 필요성이 더욱 커질 수 있는 만큼 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하반기 중 CBDC 모의실험에 착수해 그 기능과 활용성을 차질없이 테스트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급결제제도의 안전성은 중앙은행이 감시자 그리고 운영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때 확보될 수 있다”며 “따라서 지급결제 환경변화에 맞추어 한국은행의 역할과 책임을 보다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법적·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