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준금리 동결 결정 코로나 재확산 상황 더 지켜보겠다는 의미...가계부채 억제 위해 주택가격 안정시켜야
16일 이주열 한은 총재(좌)는 국회 기재위 긴급현안질의에 참석해 경기회복시 기준금리도 인상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빠른 시일 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하겠다는 뜻을 다시 한 번 피력했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한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 여부 등을 묻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최근 시장과 소통하면서 연내 (금리인상을)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코로나 사태가 재확산되면서 아직은 지켜봐야하는 상황”이라며 “지금의 금리수준은 이례적으로 낮은 상황으로 경제가 정상화된다면 금리도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 주체의 수익추구에 따른 레버리지(leverage)가 과도하게 진전되면서 언젠가 조정을 거쳐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기에 이를 제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정부도 노력하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게 낮은 금리가 오래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금리 정상화가 늦으면 늦을수록 더 많은 대가를 치르게 된다”며 “최근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코로나 상황을 더 지켜보겠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레버리지란 타인으로부터 빌린 자본을 지렛대 삼아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일명 ‘지렛대 효과’라고도 한다.
최근 저금리 기조로 인해 대출을 이용한 부동산 및 주식 투자 등이 늘었고 이는 긍정적으로 수익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자칫 잘못됐을 경우 엄청난 손실을 불러올 수도 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주택가격 안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가계부채 문제 해결 등을 묻는 장혜영 정의당 의원의 질의에 이 총재는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것 중 상당 부분은 주택구입용 소위 주담대(주택담보대출) 차입이 많기 때문”이라며 “주택가격 안정이 가계부채를 억제하는데 주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