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미국·홍콩·중국·태국 5개국서 수취한 피해금액이 전체 64.2%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조성복 기자] 금융감독원은 국내 무역회사를 상대로 외환 사기 거래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6∼2020년) 국내 무역회사의 외환 사기 거래 피해 건수는 총 2582건으로, 피해 금액은 1379억원(1억1600만달러) 상당에 달했다.
연평균으로는 516건, 276억원(2320만달러) 상당의 피해가 꾸준히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 피해 금액은 총 63개국으로 송금됐는데, 이 중 외환 송금거래가 용이한 영국·미국·홍콩·중국·태국 등 5개국에서 수취한 금액이 전체의 64.2%를 차지했다.
주요 사기 유형을 보면, 사기 집단이 해외의 수출업체와 국내 수입업체가 주고받은 이메일을 해킹해 해외의 수출업체 행세를 하는 사례가 많았다.
사기 집단은 국내 수입업체에 허위 이메일을 보내 무역대금을 자신들이 지정한 사기 계좌로 송금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런 사기업체의 경우 장기간 거래 상대방처럼 행세하며 이메일로 꾸준히 접촉해 의심을 못 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해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사기 집단이 무역 사기 거래 과정에서 제3의 국내 업체를 사기 자금의 수령 통로로 이용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중개무역을 구실로 소액의 수익 배분을 약속한 뒤 국내업체의 정상적인 거래계좌를 사기에 끌어들이는 방식이다.
사기에 연루되는 업체 수가 늘어날수록 피해 금액 회수가 어려워져 더욱 주의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외환 무역 사기 거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은행권의 우수 예방사례를 공유하며 각 은행이 유사한 예방 활동을 진행할 것을 권고했다.
사기 가능성이 높은 거래유형에 대한 모니터링 기준을 마련하고, 인지된 의심 거래에 대해서는 고객에게 사기 가능성을 고지한 뒤 거래를 취급하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등의 예방활동을 하도록 주문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