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은 “건물값은 전국 어디에서나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소비자부담은 평당 600만원, 25평 기준 1억5000만원이면 공급가능하다”며 “토지임대료는 토지조성원가에 금융비용 등(이자율 3% 적용)을 고려하면 월 평균 32만원 정도 부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개 지구 사전청약 분양가 25평 기준 4.2억과 비교하면 소비자부담이 3분의 1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이라며 “토지임대료가 월 32만원 지출되지만 사전청약 분양가(4억2000만원)를 마련하기 위한 대출이자 등 금융비용(이자율 3% 적용 시 월평균 104만원)보다는 더 낮다”고 덧붙였다.
이날 경실련은 정부가 서민을 위한 주택정책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실련 측은 “정부는 사전청약 분양가를 본 청약시 반드시 적정분양가 수준으로 대폭 인하하길 바란다”며 “나머지 물량은 땅한평도 민간매각하지 말고 토지임대 등 100% 공공주택으로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도 정부와 정치권의 의지만 있으면 LH의 3대 특권(강제수용·용도변경·독점개발)을 활용해 무주택서민을 위한 공공주택 공급이 가능하며 LH가 꾸준히 제 역할을 할 때 주변 집값거품 제거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