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7 (목)

더파워

유한양행, 뇌과학 등 미래유망분야 선도 위한 CNS연구센터 신축 추진

메뉴

산업

유한양행, 뇌과학 등 미래유망분야 선도 위한 CNS연구센터 신축 추진

박현우 기자

기사입력 : 2021-12-10 13:45

성균관대·아임뉴런과 함께 오는 2024년까지 CNS연구센터 및 FabLab동 신축

[사진제공=유한양행]
[사진제공=유한양행]
[더파워=박현우 기자] 유한양행은 지난 9일 성균관대학교, 아임뉴런바이오사이언스와 함께 ‘CNS(중추신경질환)연구센터 및 FabLab동’ 신축 기공식을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작년 9월 유한양행·성균관대·아임뉴런은 ‘산학융합 뇌질환 R&BD 생태계 구축사업’을 위한 3자 협력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들은 이를 바탕으로 CNS연구센터 및 FabLab동 신축을 추진해왔다.

유한양행에 따르면 향후 들어설 CNS연구센터 및 FabLab동에는 뇌과학 등 미래유망분야를 선도하기 위한 최첨단 연구시설 및 실험동물센터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이곳에는 유한양행 바이오신약 연구소 및 아임뉴런 연구소가 이전할 예정이며 성균관대는 신규학과를 신설해 글로벌 창의리더를 양성할 방침이다.

이들 세 기관은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CNS 연구역량·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산학융합 생태계를 조성해 글로벌 선도그룹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NS연구센터와 FabLab동은 연결된 구조로 설계됐다. 총 대지면적 3350평, 연면적 1만5220평(지상 8층, 지하 3층) 규모다. 삼성학술정보관 및 N센터에 이어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의 랜드마크 건축물이 될 전망이며 오는 2024년 6월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은 “CNS연구센터는 미래지향적인 산학융합 뇌질환 R&BD 생태계 조성과 차별화된 산학융합 플랫폼 구축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면서 “CNS연구센터를 통해 성균관대, 유한양행, 아임뉴런 세 기관이 혁신적인 신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은 기념사를 통해 “이번 CNS연구센터 및 FabLab동 신축은 국가 바이오산업 발전과 인류 건강 증진을 위한 뇌질환 연구의 발판이 될 것”이라며 “성균관대는 연구소들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CNS연구센터에 입주예정인 김한주 아임뉴런 대표는 “CNS연구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기업과 대학의 역량을 총결집한 지속가능한 산학융합 생태계 조성을 완성해 갈 것”이라며 “아임뉴런은 첨단 생명공학 분야에서 지속적인 원천기술 개발 및 신약개발을 통해 국가 바이오산업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2.29 ▲5.91
코스닥 818.27 ▲6.04
코스피200 431.64 ▲0.4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40,000 ▼653,000
비트코인캐시 678,000 ▼4,000
이더리움 4,704,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7,230 ▼170
리플 4,452 ▲24
퀀텀 3,187 ▼2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00,000 ▼795,000
이더리움 4,70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7,200 ▼270
메탈 1,095 ▼10
리스크 635 ▼2
리플 4,447 ▲8
에이다 1,112 ▲7
스팀 20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70,000 ▼720,000
비트코인캐시 677,000 ▼6,000
이더리움 4,707,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7,200 ▼210
리플 4,452 ▲26
퀀텀 3,201 ▲1
이오타 31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