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류 원인 분석 자료 과기정통부에 제출...사고 경위 파악 위해 경찰 고소 예정
14일 IT업계 등에 따르면 카카오는 지난 3일 발생한 QR코드 서비스 등의 접속 불가 오류가 해외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 등의 오류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박현우 기자] 카카오는 지난 3일 자사가 제공 중인 카카오맵(지도)·다음 포털·QR 체크인 등에서 발생한 1시간 가량의 오류가 해외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ISP) 등 외부 교란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를 14일 내놓았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및 IT업계 등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오류 원인 분석 자료를 과기정통부에 전달했다.
카카오는 BGP(보더 게이트 프로토콜, 외부 라우터와 경로 정보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의 교란 행위로 해당 접속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BGP는 인터넷 주소 입력시 최대한 빨리 해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 중 하나로 인터넷 접속자에게 목적지(검색하려는 사이트)에 도착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지점을 알려주고 최상의 경로 제공·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BGP 교란 행위는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사) 등에 IP 주소가 잘못 입력돼 트래픽이 본래 전달돼야 할 곳이 아닌 엉뚱한 곳으로 전송되는 오류다.
카카오는 지난 3일 사고 당시 해외 ISP 등 외부의 개입이 발생했고 이 때문에 카카오로 전해져야 할 트래픽이 제대로 들어오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카카오는 정확한 사고 경위 등을 파악하기 위해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