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위치한 경북 구미국가산단 3공단에 1만2922평 공장 증설
16일 SK실트론은 경북 구미국가산단에 향후 3년간 1조여원을 투자해 300mm 웨이퍼 증설에 나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SK그룹][더파워=박현우 기자] 국내 유일의 반도체 웨이퍼 제조기업 SK실트론이 글로벌 웨이퍼 시장의 선두주자로 도약하기 위해 경북 구미국가산단에 300mm 웨이퍼 증설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16일 SK실트론은 “반도체 기업들로부터 수주한 웨이퍼의 안정적인 공급과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본사가 위치한 구미국가산업단지 3공단에 3년간 총 1조495억원을 투자해 최첨단 반도체 웨이퍼 공장을 증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5일 SK실트론은 이사회를 열고 300mm 웨이퍼 증설 투자를 위한 예산안을 결의한 바 있다.
SK실트론에 따르면 공장 증설 부지 규모는 4만2716㎡(1만2922평)으로 올해 상반기 기초공사를 시작해 2024년 상반기 제품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SK실트론은 향후 1000여명 이상의 직원들을 채용할 예정이다.
SK실트론 측은 “이번 투자 결정으로 인해 구미 지역의 경제 활력을 제고하는 한편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평가했다.
올해 1월 미국 상무부는 150여개 반도체 공급망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반도체 부족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웨이퍼의 공급 부족을 꼽았다.
웨이퍼는 반도체의 기판을 만들기 위한 핵심 소재로, 반도체 생산을 대규모로 확대할 경우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현재 웨이퍼 시장은 매출액 기준으로 전세계 주요 5개 제조사가 전체 시장의 94%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국내 기업으로는 SK실트론이 유일하다.
글로벌 웨이퍼 제조사들은 최소 2026년까지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경쟁적으로 증설 투자를 발표하고 있다.
국가간의 경쟁도 치열한 상황이다. 그 예로 최근 독일 정부는 반도체 기술 안보를 이유로 대만 글로벌 웨이퍼스의 자국 기업 실트로닉 인수 계약을 승인하지 않아 인수합병이 무산되기도 했다.
SK실트론의 대규모 투자 배경은 시장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SK실트론은 수요 증가로 지난 2년 동안 매월 최대 물량을 생산하고 있다.
장용호 SK실트론 사장은 “이번 증설 투자는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민첩한 대응을 위한 도전적인 투자”라며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과의 협업을 통한 기술 혁신으로 고품질의 웨이퍼 제조 역량을 갖춰 글로벌 웨이퍼 업계 리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 구미시도 이날 “SK실트론이 구미국가 3산업단지에 최첨단 반도체 웨이퍼 공장을 짓기로 결정한 것을 환영한다”면서 “시의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SK실트론의 공장 설립을 지원하겠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