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재필 기자] 제일건설이 지난해 10월 서울 성북구 길음동의 한 소규모 재개발사업에서 들러리 입찰을 해줬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해당 사업은 면적 약 1만 ㎡에 지하 6층~지상 28층 규모의 아파트 300여 가구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조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조합은 지난해 12월께 시공자선정총회를 열고 시공자 선정을 마무리한 상황이다.
지난 6일 업계에 따르면 제일건설은 지난해 10월 서울 성북구의 한 시장정비사업에서 들러리로 입찰해 경쟁구도를 이룬 다음 경쟁사의 수주를 도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제일건설의 들러리 입찰 의혹을 제기하는 주민들의 제보와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이곳의 한 조합원은 “길음동 재개발의 조합원들 사이에선 누가 봐도 A건설사의 들러리로 제일건설이 입찰 했다는 소문이 자자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는 등의 방식으로 조합원들의 피해를 알려야 한다”며 “시공사 선정까지 완료했지만 한동안 사업이 지지부진했던 터라 또다시 사업이 지연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전국 도시정비사업지에서 들러리 입찰이나 담합 등으로 시공권을 거래해온 정황이 속속 드러나는 상황에서 제일건설은 서울 등에서 활발한 수주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며 “이미 업계에서는 일부 시공자들이 경쟁을 가장해 제일건설에게 들러리 입찰을 사주했다는 소문이 공공연한 사실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한편, 이곳 일부 조합원들은 제일건설을 공정거래위원회,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 등에 민원을 제기할 뜻을 밝히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해당 조합은 부정당업자의 입찰 참가자격 제한에 관한 사항을 통해 국토교통부 ‘정비사업 계약업무 처리기준’을 비롯해 관계 법령 및 현장설명회에 참석한 건설업자 등에게 배부하는 입찰안내서 등에서 정한 규정을 위반할 경우 입찰 참가자격을 제한하겠다고 규정했다.
이 외에도, 제일건설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개발 논란 속에서도 특혜 의혹에 휘말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대장동 게이트에서 최종 낙찰된 하나은행 컨소시엄은 사업자 선정 당시 제출한 사업계획서에서, 건설되는 아파트는 선호도 상위 10개 업체의 브랜드로 건설하겠다는 확약을 했다.
그러나 박 의원 측은 토지를 최종 분양받아 건설한 업체 중에는 상위 10위권 브랜드가 아닌 제일건설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전한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은 “제일건설이 A블록 경쟁입찰 6개 필지 중 3개를 낙찰받았다”면서 “어떻게 한 회사가 절반인 3개 필지를 입찰받을 수 있었는지 알 수 없다. 확률로 따지면 엄청난 확률이다”라고 토로했다.
그는 특히 제일건설의 페이퍼컴퍼니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해당 업체가 3개를 모두 낙찰받았다는 것에 의혹을 제기했다. 일부 건설사가 낙찰률을 높이기 위해 페이퍼컴퍼니를 만들고 입찰에 참여하는 때도 있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이재필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