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07 (금)

경제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 0.7%... 수출이 견인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04-26 09:45

민간소비 -0.5%·설비투자 -4.0%·건설투자 -2.4% 수출 4.1% 증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 1분기(1∼3월) 한국 경제가 0.7% 성장하는 데 그쳤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대유행과 공급 병목현상,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영향으로 민간소비와 투자가 위축됐지만 수출이 끌어올렸다.

한은은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7%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2%)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2%), 4분기(1.1%)와 2021년 1분기(1.7%), 2분기(0.8%), 3분기(0.3%), 4분기(1.2%)에 이어 이번까지 7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직전 분기보다 0.5%포인트(p)나 떨어졌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오락문화·운수·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5%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기계류와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가 위축되면서 4.0% 줄었다. 2019년 1분기(-8.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건설투자 역시 건물·토목 건설이 모두 감소하면서 2.4% 뒷걸음쳤다.

정부소비의 경우 물건비가 늘었지만, 사회보장 현물수혜가 줄어 전체적으로 증감 없이 작년 4분기와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소비와 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이 반도체·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4.1% 늘면서 유일하게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됐다.

수입도 가격이 뛴 원유의 수입액 증가 등의 영향으로 0.7% 늘었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의 기여도는 각 -0.2%포인트, -0.4%포인트, -0.4%포인트로 분석됐다. 그만큼 소비와 투자가 1분기 성장률을 끌어내렸다는 뜻이다.

반대로 순수출은 성장률을 1.4%포인트 높였다.

업종별 성장률은 ▲ 농림어업 4.1% ▲ 제조업 3.4% ▲ 전기가스수도업 3.8% ▲ 서비스업 -0.1% ▲ 건설업 -0.6% 등이었다. 특히 서비스업 가운데 문화 및 기타(-3.2%), 운수업(-2.7%)의 하락 폭이 컸다.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교역 조건 악화로 실질 GDP 성장률(0.7%)보다 낮은 0.6%로 집계됐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26.45 ▲22.03
코스닥 898.17 ▼3.72
코스피200 568.38 ▲2.9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556,000 ▼72,000
비트코인캐시 703,000 ▲1,500
이더리움 4,953,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1,350 ▲270
리플 3,339 0
퀀텀 2,581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778,000 ▲228,000
이더리움 4,954,000 ▲34,000
이더리움클래식 21,300 ▲190
메탈 621 ▲5
리스크 268 ▼3
리플 3,341 ▲1
에이다 785 ▲3
스팀 11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48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704,000 ▲3,000
이더리움 4,957,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1,320 ▲190
리플 3,337 ▼3
퀀텀 2,530 ▼26
이오타 18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