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모 KT 대표/사진=연합뉴스[더파워 이경호 기자] KT그룹이 오는 2026년까지 네트워크와 디지코(Digico), 벤처·스타트업 분야에 27조원을 투자한다.
KT는 올해 민영화 20주년을 맞아 앞으로 5년간 27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9일 발표했다.
KT는 2026년까지 ▲네트워크 ▲디지코 ▲벤처·스타트업 분야에 27조원을 투자하고, 약 2만8천명을 고용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초고속인터넷, IPTV, 무선서비스 등 핵심 서비스의 우회경로를 확대해서 네트워크 안정성을 강화하고 6G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연구·개발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를 고도화한다.
AI, 빅데이터 기술과 국내 최대 콜센터 운영경험을 기반으로 한 AICC 등 주력 신사업에 1조5천억원을 투입하고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IDC) 인프라에 약 1조7천억원을 투자한다.
지난해 말 세계 최초로 출시한 '하이퍼스케일 AI 컴퓨팅(HAC)' 서비스를 필두로 AI 인프라에 투자하고, 초대규모 'GPU 팜' 구축과 특화 AI 반도체 고도화를 통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겠단 목표다.
AI와 로봇, 클라우드, 미디어·콘텐츠 등 디지코 분야에도 12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주력 신사업에 1조5천억원을 투입해 영상AI, CCaaS(Contact Center as a service), 초거대 AI사업을 발굴하고 로봇플랫폼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디어와 콘텐츠 분야에는 2조6천억원을 투입하고, 벤처·스타트업에도 3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인재 고용은 현재 운영 중인 청년 AI인재양성 프로그램 '에이블스쿨'을 통해 약 5천명의 디지털 인재를 집중 양성할 방침이다.
KT는 AI 서비스 개발자를 양성하는 'AI 개발자 트랙'과 디지털 산업을 선도하는 'DX 컨설턴트 트랙' 2개 과정으로 에이블스쿨을 운영해오고 있다.
지난해 진행된 에이블스쿨 1기 과정을 통해 약 200명의 실무형 디지털 인재가 배출돼 이 중 40명이 KT에 채용됐다.
KT는 향후 5년간 에이블스쿨을 통해 전국 단위 약 5천명의 디지털인재를 집중 양성해 KT그룹의 직접채용, 유망 스타트업·강소기업 채용연계를 통해 청년실업과 IT인력부족의 사회적 난제 해결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운영중인 AI실무역량 자격시험을 AI역량 공인제로 발전시키고, 5년간 자격취득 5만명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구현모 KT 대표는 "초연결 인프라와 디지코 영역 등 적극적인 미래 투자와 디지털 인재 양성, 일자리 창출로 국가 핵심산업 경쟁력 강화의 밑거름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