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비즈 중 카카오톡 메신저 화면 최상단에 노출되는 비즈보드는 올해 9015개 업체가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은 총 13개, 업체는 9015개이고 이 중 분류가 가능한 13개 업종 업체(1868개) 중 가장 비중이 큰 업종은 서비스(352개)였다. 이어 식음료(286개), 패션(262개), 리빙(166개), 화장품(156개), 커머스(118개), 전자통신(115개), 관공서 등(101개), 금융(91개) 순이었다. 기타 미분류 업종은 79.3%(7147개)였다.
이는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개인사업자를 가릴 것 없이 거의 모든 업종이 카카오톡 광고를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강 의원은 해석했다.
강 의원은 카카오톡이 출시 초기 '광고 및 유료화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면서도 광고 사업을 시작하고 지난 8월에는 오픈채팅 광고 도입 등 광고 사업 확대 계획도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카카오톡 '먹통' 사태 이후 인터넷 게시판 등에서는 카카오톡이 지난 2012년 '카카오톡은 유료화를 할 계획이 전혀 없다. 카카오톡에 광고 넣을 공간도 없고, 쿨하지도 않고, 이쁘지도 않다. 카카오팀이 그렇게 가난하지는 않다'고 밝혔던 업데이트 공지가 화제에 오르기도 했다.
강 의원은 "국민들에게 큰 혼란과 막대한 피해를 일으켰던 이번 '카카오 먹통' 대란의 주요 원인은 카카오가 문어발식 확장과 수익 창출에만 열을 올리고 인프라 안정성 점검과 투자는 뒷전으로 미뤘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카카오는 특히 카카오톡의 압도적 점유율을 기반으로 소비자를 묶는 '잠금 효과'로 카카오톡 이용자가 대안을 찾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해 광고 사업 확대를 통한 수익 극대화에 골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정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플랫폼 기업이 자본을 앞세워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하는 것을 제재하기 위해 플랫폼 기업에 특화된 기업결합 심사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