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현대차 장재훈 사장이 23일 “생산·판매 최적화로 수요자 우위 시장 전환에 대응하는 한편 소프트웨어(SW) 중심으로 회사 전반의 시스템을 개편하겠다”고 올해 경영전략을 밝혔다.
장 사장은 이날 현대차 양재동 사옥에서 열린 제55기 정기 주주총회 인사말에서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글로벌 경제가 고금리, 경기침체 국면이 지속되면서 자동차 수요가 둔화하고 공급망 재편 및 원자재 수급 불안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 중국 업체들의 글로벌 진출 확대와 전기차 신차 출시 및 가격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장 사장은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해 △수요자 우위 시장으로 전환 대응 △전동화 톱티어 브랜드 달성 △미래사업 준비 및 내부역량 강화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관리체계 강화를 4대 전략 추진 방향으로 제시했다.
그는 수요자 우위 시장 전환 대응과 관련해 "생산·판매 최적화와 물류 리드타임 단축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시기에 제공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 프로그램 강화를 통해 신차 구매 부담을 완화하고, 인증 중고차 사업으로 신뢰도 높은 중고차를 제공하는 등 고객의 실 부담액을 경감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동화 전환에 대해서는 “충전 편의성 강화, 에너지와 통합된 서비스 패키지 등 전기차 사용 전반에 걸쳐 고객 편의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5 N 출시와 전기차 현지 생산 체계 강화, 신흥시장 전동화 지배력 확대도 세부 전략으로 내세웠다.
장 사장은 미래전략과 관련해서는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통해 제조혁신 기술을 고도화하고 로보틱스·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장 사장은 지난해 북미에서 발생한 협력업체의 부당 노동 문제와 관련해 제3자 진단, 해당 업체와의 지분 관계 청산 등으로 강력하게 대응했다고 강조하면서 “현대차는 부당 노동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고수하고 있고, ESG 관리체계 강화를 통해 잠재적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주총에서는 호세 무뇨스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을 사내이사로, 장승화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최윤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안이 상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