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30대 이하 다중채무자 142만명… 전체 취약차주의 37%

메뉴

경제

30대 이하 다중채무자 142만명… 전체 취약차주의 37%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4-17 11:04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이면서, 신용등급이 낮거나 소득이 적은 30대 이하 청년층이 작년 한 해에만 4만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한국은행이 국회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는 46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취약차주(126만명)의 36.5%다.

한은은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한다.

전체 취약차주 수는 1년 동안 6만명 늘었는데 30대 이하 청년층에서만 4만명 증가했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9000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조1000억원 늘었다.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가 늘면서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 연령대에서 다시 오르는 추세다. 연체율은 30일 이상 연체 전액 합계를 30일 이상 대출 잔액 합계로 나눈 값을 뜻한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30대 이하 0.5%, 40·50대 0.6%, 60대 이상 0.7%로 집계됐다. 모두 1년 전보다 0.1% 포인트 상승했다. 이 중에서도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연체가 급증했다.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은 1.1%로, 1년 전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진선미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이자 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며 "국민의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한 더불어민주당의 민생금융 위기 대응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894,000 ▼331,000
비트코인캐시 701,500 ▼500
이더리움 4,133,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5,710 ▼10
리플 4,035 ▲42
퀀텀 3,161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001,000 ▼188,000
이더리움 4,128,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5,700 0
메탈 1,084 0
리스크 609 ▲2
리플 4,037 ▲45
에이다 1,023 ▼1
스팀 20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010,000 ▼370,000
비트코인캐시 702,000 ▲500
이더리움 4,131,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5,720 ▲20
리플 4,037 ▲47
퀀텀 3,185 0
이오타 30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