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5 (화)

더파워

한미약품 "투스페티닙 단독·병용요법 모두 효과 탁월"

메뉴

정치사회

한미약품 "투스페티닙 단독·병용요법 모두 효과 탁월"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3-12-11 14:05

한미약품파트너사앱토즈는지난9일(현지시각)미국샌디에이고에서열린미국혈액학회에서투스페티닙의진전된상세한임상데이터를공개했다.
한미약품파트너사앱토즈는지난9일(현지시각)미국샌디에이고에서열린미국혈액학회에서투스페티닙의진전된상세한임상데이터를공개했다.
[더파워 이경호 기자] 한미약품의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 혁신신약 '투스페티닙(Tuspetinib, 이하 TUS )'의 진전된 임상 데이터가 미국혈액학회(ASH,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에서 구연으로 발표됐다.

한미약품은 TUS를 개발 중인 파트너사 앱토즈가 9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혈액학회에서 TUS의 진전된 임상 데이터를 구연으로 발표됐다고 11일 밝혔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임상 프로파일도 공개했다.

MD 앤더슨 암센터 교수인 나발 G. 데버(Naval G. Daver) 박사의 발표로 공개된 임상 데이터는 TUS 단독 요법은 물론, 다른 약물(베네토클락스, Venetoclax 이하 VEN)과의 병용시에도 종양의 소실을 뜻하는 '완전관해' 등 우수한 효과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TUS는 골수성 악성 종양에서 작용하는 주요 키나아제(kinases)를 표적하는 1일 1회 투여 경구용 골수키놈억제제(MKI)로, 2021년 4억2000만 달러(5500억원) 규모로 앱토즈에 기술수출 됐다. TUS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FDA)로부터 2018년 희귀의약품 및 지난해 패스트트랙 개발 품목으로 지정된 바 있다.

68명 환자 대상의 80mg-160mg TUS 단일요법에서 VEN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 29%(28명 중 8명)에서 완전관해(CRc)가 나타났다. 이중에는 42%(12명 중 5명)의 완전관해율을 보인 FLT3 돌연변이 환자와 19%(16명 중 3명) 완전관해율을 보인 야생형 또는 FLT3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가 포함됐다.

많은 환자에게 긍정적인 약물 반응이 나타나면서 조혈모 세포 이식(HSCT) 치료로 이어지기도 했는데 HSCT 치료로 이어지지 않은 환자에서도 지속적인 치료 효과가 관찰됐다. 1일 최대 용량까지 특별히 주목할 만한 부작용이나 용량 제한 독성(DLT) 없이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였으며 약물 관련 독성으로 인한 투약 중단도 없었다. 향후 진행될 2상 권장 용량으로는 80mg이 선정됐다.

TUS/VEN(80mg/200mg) 병용요법 군에서는 49명의 환자가 투약 받았으며 이중 36명의 환자 군을 평가할 수 있었다. 이 환자들은 대부분 과거에 VEN 또는 FLT3 억제제 치료를 받은 이력이 있다.

TUS/VEN 병용 요법은 과거 VEN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와 VEN 재발/불응성(R/R) AML 환자 모두에서 25%(36명 중 9명)의 완전관해율이 나타나는 등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VEN 치료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43%(7명 중 3명),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21%(29명 중 6명)의 완전관해율(CRc)이 관찰됐으며, FLT3 야생형 환자군에서 20%(25명 중 5명), FLT3 돌연변이 환자군에서 36%(11명 중 4명)의 완전관해율이 확인됐다.

데버 박사는 “TUS는 종양학에서 매우 치료하기 까다롭고 어려운 질병인 재발/불응성AML에서 확실한 치료 효과가 나타나며 놀라울 정도로 우수한 내약성을 갖추고 있다”면서 “TUS는 AML 환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FLT3 야생형 환자와 FLT3 및 NPM1 돌연변이 환자 등 광범위한 환자군에서 치료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넓은 시각에서 본다면, 항백혈병 활성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와 맞물려 계속해서 공개되고 있는 TUS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향후 TUS/VEN/HMA (Hypomethylating agent, 저메틸화제) 삼제 요법이 신규 AML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며 “TUS/VEN 병용요법 환자들이 현재 치료 초기 단계이지만 반응을 보이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계속 치료를 받고 있으며, 투여가 계속됨에 따라 보다 우수한 반응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736,000 ▲296,000
비트코인캐시 684,000 ▼3,000
이더리움 4,09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5,110 ▼130
리플 3,960 ▼30
퀀텀 3,067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817,000 ▲417,000
이더리움 4,095,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5,120 ▼130
메탈 1,059 ▼4
리스크 588 ▼5
리플 3,965 ▼27
에이다 994 ▼2
스팀 19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810,000 ▲330,000
비트코인캐시 683,000 ▼2,500
이더리움 4,099,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100 ▼70
리플 3,963 ▼33
퀀텀 3,049 0
이오타 30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