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지속가능경영보고서_한미약품②] '2023 지속가능성' 주제 중대성 평가 진행...11개 핵심 이슈 선정

메뉴

ESG·지속가능경영

[지속가능경영보고서_한미약품②] '2023 지속가능성' 주제 중대성 평가 진행...11개 핵심 이슈 선정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4-07-05 16:06

(더파워뉴스=이경호 기자) 한미약품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영을 위해 ESG 관리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기 위하여 2016년 ESG 전담조직을 신설했다. ESG전담조직인 ESG그룹은 ESG 전략 및 계획 수립은 물론 대외 커뮤니케이션, ESG 이슈 및 현황 분석 등 전반적인 ESG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2017년 대표이사 산하 CSR(사회적 책임)위원회를 대한민국 제약회사 최초로 신설하여 환경(E), 사회책임(S), 책임경영(G) 등 당사의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주요 정책을 검토, 실행하고 있다.

한미약품2023-24ESG보고서
한미약품2023-24ESG보고서
한미약품은 ESG경영의 주요 의사결정을 위하여 대표이사 산하 CSR위원회와 hEHS위원회를 구성하여 주요한 ESG 의사결정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전사 ESG의 컨트롤 타워인 CSR위원회는 전사 ESG 전략은 물론 ESG 추진 과업을 점검하고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또한 환경, 안전, 보건분야의 전사적 협의체인 hEHS위원회는 안전한 사업장, 환경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2019년 대한민국 제약산업 최초로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더불어 이사회에서는 연 1회 이상 ESG전략 및 현황 보고 등 전사적 ESG 관련 사안에 대한 관리 감독을 수행하고 있다. 한미약품 ESG 사안의 최종 의사결정자는 대표이사이며, ESG 관련 전략 수립, 이슈 대응, 투자 집행, 공시 및 평가 등 전사 ESG경영을 총괄 관리하고 있다. ESG 전담 조직인 ESG그룹은 ESG 현황 및 추진 성과를 연 1회 이상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ESG기반의 지속가능경영 및 투명하고 전략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위해 2017년부터 CSR위원회를 신설해 위원장(대표이사)을 중심으로 총 4명의 위원을 구성했다. 내부 운영 규정에 따라 사회공헌비용의 집행, 검토 등 사회공헌활동 운영실태 및 CSR전략 수립은 물론 안전보건, 기후변화 등 한미약품의 ESG경영과 관련된 안건을 논의, 심의하고 있으며 연 1회 이사회에 관련사항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2019년 책임있는 EHS경영을 위해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총 5개 사업장 담당자로 구성된 EHS 총괄조직인 hEHS위원회(hanmi- Environment Health Safety)를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신설했다. 정기 회의(연 2회 이상)를 통해 한미약품의 전략적인 EHS경영을 위한 목표와 계획을 수립, 진행과정을 공유하고 각종 규제 등 환경변화에 맞춘 안건을 논의하고 있으며 연 1회 이사회에 관련사항을 보고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체계적인 ESG경영 추진을 위하여 중장기 관점의 전략 및 계획을 설정하여 이행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창조와 도전, 혁신 기반의 지속 가능한 경영과 성장이라는 비전 아래 ESG 각 분야별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계획에 따른 상세 전략 과제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

한미약품2023-24ESG보고서
한미약품2023-24ESG보고서
한미약품은 국내 제약산업의 미래상과 사업 전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및 기회 관점에서 중대한 이슈를 매년 도출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2022년부터 환경, 사회적(IN-OUT) 뿐만 아니라 기업에 재무적으로 중대한 영향(OUT-IN)을 미칠 수 있는 요인까지 고려한 이중 중대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과 한미약품의 중대 이슈를 종합 검토하여 지속가능성 주제 중대성 평가를 진행했다. 이중 중대성 평가결과 총 28개의 이슈가 도출됐다. 28개 이슈 중 경제 및 지배구조가 12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개 이슈가 전년 대비 신규/보완 이슈로 추가됐다.

특히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재무적/비재무적 영향을 고려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 논의를 거쳐 11개(△기후변화 대응 거버넌스 및 리스크 관리 △화학물질 안전관리 △사업장 내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사업장 안전보건 강화 △임직원 역량 제고 및 인재 영입 △책임있는 공급망 관리 △윤리경영 및 준법경영 강화 △연구개발 투자 확대 △책임있는 마케팅 및 고객관리 △신약개발을 통한 치료가능 영역 확대 △의약품 안전성 강화)의 중대 핵심 이슈를 선정했다.

선정된 중대 핵심 이슈는 2023-24년 ESG보고서를 통해 보다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투명하게 공개하고 향후 기업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한미약품은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 활동, 글로벌 제약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현황을 참고하여 우리의 주요 이해관계자를 6개 그룹으로 분류했으며, 지속가능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서부터 이해관계자와 소통하여 관심사항과 대응방안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등을 통해 공유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58.43 ▲24.69
코스닥 795.98 ▲5.62
코스피200 424.79 ▲2.7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588,000 ▼361,000
비트코인캐시 695,500 ▼4,000
이더리움 3,75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840 ▼120
리플 3,272 ▼2
퀀텀 2,85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460,000 ▼540,000
이더리움 3,758,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830 ▼140
메탈 963 ▼8
리스크 552 ▲1
리플 3,270 ▼8
에이다 843 ▼3
스팀 18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630,000 ▼380,000
비트코인캐시 694,500 ▼4,500
이더리움 3,75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820 ▼130
리플 3,272 ▼4
퀀텀 2,848 ▼12
이오타 23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