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9.10 (수)

더파워

에스티팜, 올리고·mRNA 캡핑 대량생산 신기술 도입

메뉴

정치사회

에스티팜, 올리고·mRNA 캡핑 대량생산 신기술 도입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4-10-02 14:15

에스티팜, 올리고·mRNA 캡핑 대량생산 신기술 도입
(더파워뉴스=이경호 기자) 에스티팜(대표이사 사장 성무제)은 최근 일본의 후지모토(Fujimoto chemicals) 및 이나바타(Inabata)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올리고) 대량생산 신기술 도입 및 사업 제휴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2030년까지 일본을 제외한 전세계 지역에서 후지모토의 특허물질인 후지메트(Fujimat®, 액상수지)의 독점 판매권과 함께 후지메트를 이용한 올리고 합성에 대한 독점 사용권을 확보하게 됐다. 이나바타는 에스티팜에 후지메트를 공급하게 된다.

계약기간 동안 에스티팜이 새롭게 개발한 올리고 액상합성의 제조 공정기술 및 분석법 관련 특허는 에스티팜이 독자적으로 보유하며, 올리고 외 다른 품목을 후지메트를 활용해 생산할 때에는 향후 논의를 통해 글로벌 CDMO사업을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현재 올리고는 어떤 용매에도 녹지 않는 고체상태의 지지체에 반응물질이 결합되는 SPOS(고체상합성, solid-phase oligonucleotide synthesis) 방식으로 합성이 이뤄진다. 고체상합성은 자동화를 통해 합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중간체에 대한 품질분석이 불가능하고 배치당 생산량이 적어 대량생산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에스티팜이 이번에 도입하는 신기술을 적용하면 LPOS(액상합성, liquid-phase oligonucleotide synthesis) 방식으로 기존의 저분자 의약품 생산설비를 활용해 올리고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한 필터 공정 만으로도 순도 높은 중간체를 얻을 수 있어 정제공정의 수율을 높일 수 있고 반응성을 높여 유기용매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환경친화적이다.

일본, 오사카에 본사를 둔 후지모토는 1953 년에 설립되어 API 제조 및 중간체를 공급하는 CDMO 회사로, 후지메트의 물질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LPOS는 올리고 대량생산에 유리해, 후기 임상 및 상업화 단계의 올리고 신약을 보유한 글로벌 고객사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현재 두 곳의 글로벌제약사와 공동연구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LPOS는 에스티팜의 자체 특허 mRNA 플랫폼인 SmartCap의 대량생산에도 적용이 가능해 향후 올리고 및 mRNA CDMO 매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14.53 ▲54.48
코스닥 833.00 ▲8.18
코스피200 450.05 ▲8.7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347,000 ▲177,000
비트코인캐시 809,000 ▲2,000
이더리움 6,02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8,730 ▼20
리플 4,131 ▲1
퀀텀 3,610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443,000 ▲272,000
이더리움 6,020,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8,730 ▲10
메탈 1,003 ▲5
리스크 524 0
리플 4,133 ▲1
에이다 1,219 ▼2
스팀 18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37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809,000 ▲500
이더리움 6,02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8,710 0
리플 4,131 ▼1
퀀텀 3,636 ▲34
이오타 26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