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8 (금)

더파워

삼성전자,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4’ 개최

메뉴

산업

삼성전자,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24’ 개최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4-10-04 10:03

삼성전자DX부문장한종희대표이사부회장이‘삼성개발자콘퍼런스2024’에서기조연설을하고있다./삼성전자제공
삼성전자DX부문장한종희대표이사부회장이‘삼성개발자콘퍼런스2024’에서기조연설을하고있다./삼성전자제공
(더파워뉴스=이경호 기자) 삼성전자가 10월 3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 센터에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이하 SDC) 2024’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SDC는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서비스·플랫폼에 대한 비전과 혁신을 공유하는 글로벌 행사로,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했다.

이날 행사는 ‘모두를 위한 AI-10년의 개방적 혁신과 미래’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전 세계 개발자·파트너·미디어 등 약 3000명이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AI 기술로 보다 개인화되고 안전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비전을 공유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최신 기술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DX부문장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지난 10년 동안 개발자·파트너와 함께 노력했기에 혁신의 여정을 이어올 수 있었다”며 AI 시대에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반 성장을 위한 개방적 협업을 강조했다.

또한 △AI 시대에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는 보안 △개인화 경험을 고도화하고 가족 구성원을 케어하는 최신 AI 기술 △AI 기술의 B2B 확대 의지 등을 밝혔다.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는 향후 ‘누가 말하는지’, ‘어느 공간에 있는지’까지 인지해 고도화된 개인화 경험이 가능하도록 준비할 것”이라며 “이같은 서비스는 삼성전자의 AI 기반 SW·플랫폼 혁신과 보안 기술로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구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부회장은 TV·스마트 모니터·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등에 내장된 스마트싱스 허브를 스크린이 탑재된 가전으로 확대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제품만 있으면 별도 허브 없이도 타사 기기까지 연결이 가능해지고, 여기에 ‘엣지 AI’ 기술을 더해 집안에 연결된 기기에 AI 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모바일뿐만 아니라 TV, 가전 등 삼성전자 주요 제품군의 소프트웨어 경험 명칭을 ‘One UI’로 통합한다. 제품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최대 7년까지 보장해 최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경험 전반에 일관성을 강화한다.

이날 행사에는 한 부회장 외에도 삼성전자 임직원과 업계 관계자들이 다양한 전략과 비전을 소개했다. △삼성전자의 AI 연구 방향과 보안 기술 △주요 제품의 AI 기반 소프트웨어 경험 개선 △타이젠 OS △스마트싱스 플랫폼의 진화 등이 소개됐다.

이날 삼성전자는 모바일, TV, 가전에 이르기까지 각 제품의 특성에 맞는 AI 기술을 모든 제품군에 적용하고, 이 제품들을 연결해 더 개인화된 AI 경험을 구현한다는 계획을 공유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책임 있는 AI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도 강조했다.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의 3대 원칙하에 AI 기술이 활용되는 전 과정에서 임직원들이 AI 윤리 원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점검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갤럭시 AI를 통해 고객들의 개인화 경험을 고도화하고 에코시스템 전반으로 AI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AI 경험 확대를 위해 향후 구글 등 여러 업체와 개방적 협업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연내 공개될 One UI 7은 갤럭시 AI 기능 확대와 더욱 정제되고 인상적이며, 감성적인 UX로 완전히 새로워진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SDC를 통해 C랩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 반응을 점검하고 사업성 강화와 사업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2.29 ▲5.91
코스닥 818.27 ▲6.04
코스피200 431.64 ▲0.4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59,000 ▼305,000
비트코인캐시 673,000 ▼4,000
이더리움 4,658,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7,030 ▼90
리플 4,396 ▼34
퀀텀 3,187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311,000 ▼329,000
이더리움 4,652,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6,970 ▼150
메탈 1,091 ▼2
리스크 624 ▼6
리플 4,395 ▼32
에이다 1,086 ▼9
스팀 20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80,000 ▼320,000
비트코인캐시 673,000 ▼3,500
이더리움 4,660,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7,050 ▼80
리플 4,398 ▼33
퀀텀 3,190 0
이오타 307 ▼7